하이닥PRO 승인 검토중이니 조금만 더 기다려 주세요.
고시환 전문의 답변입니다.
안녕하세요. 하이닥 소아청소년과 상담의 고시환입니다. 경계선상에 있는 듯합니다 다만, 정상수치라함은 일반적인 경우를 말하게 되는 것이기에 혹여라도 갑상선저하에 ...
안녕하세요. 하이닥 소아청소년과 상담의 고시환입니다. 혈당은 그 순간의 혈당보다 높고 낮아지는 혈당스파이크가 더 위험합니다 당뇨, 특히 젊은 연령층의 당뇨는 ...
김범철 전문의 답변입니다.
안녕하세요. 하이닥 내과 상담의 김범철입니다.고지혈증약 때문에 당화혈색소가 증가하지 않습니다. 고지혈증치료제 크레스토(성분명: 로수바스타틴)가 제2형 당뇨병을 ...
김예도 약사 답변입니다.
안녕하세요. 하이닥 상담약사 김예도입니다. 헌혈하는 곳에서 다 조회가 되시구요 스테로이드는 안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헌혈센터에 문의하세요. 이상입니다----- ...
박현민 전문의 답변입니다.
안녕하세요. 하이닥 혈액종양내과 상담의 박현민입니다. 갑상선기능검사와 염증검사를 받으셔야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이정찬 전문의 답변입니다.
안녕하세요. 하이닥 내과 상담의 이정찬입니다. 이 상태를 무증상 갑상선 기능 항진증이라고 합니다. 아직은 치료 약을 먹을 때가 아닙니다. 추가적으로 갑상선 자 ...
박성만 전문의 답변입니다.
안녕하세요. 하이닥 신경외과 상담의 박성만입니다. 약을 많이 드시긴 하는데 고지혈증과 당화혈색소는 결국 식습관과 운동의 영향이라고 보는 게 맞을 겁니다 많이 ...
한재병 전문의 답변입니다.
안녕하세요. 하이닥 응급의학과 상담의 한재병입니다. 일부 고지혈증 약제의 경우 장기간 복용시 당뇨가 야기될 수 있습니다만, 현재 당화혈색소 만으로 당뇨로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