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태용 전문의 답변입니다.
안녕하세요. 하이닥 신장내과 상담의 손태용입니다 색깔로 보아서는 혈뇨는 아닙니다. 현미경 검사로 혈뇨가 보일 수는 있겠습니다. 소변검사를 받아야 정확한 소견을 ...
이윤길 전문의 답변입니다.
안녕하세요. 하이닥 비뇨의학과 상담의 이윤길입니다.생리라서 소변에 혈뇨말고는 특이사항은 없는 것 같습니다. +/- 라는 말은 정상과 비정상의 경계 부위에 있다 ...
박현민 전문의 답변입니다.
안녕하세요. 하이닥 혈액종양내과 상담의 박현민입니다. 네. 그 검사들을 해보셔야, 큰 질병들을 배제할 수 있을거 같습니다. 지속적인 혈뇨는 콩팥과 방광, 요관 ...
송슬기 전문의 답변입니다.
안녕하세요. 하이닥 외과 상담의 송슬기입니다. 네 그렇습니다. HIV 감염에 대해서는 걱정은 조금 덜어내시고 신장병에 대해서 검사를 좀 더 정밀 하게 진행해보 ...
홍인표 전문의 답변입니다.
안녕하세요. 하이닥 가정의학과 상담의 홍인표입니다. 방광내시경은 혹시 아직 안하신거지요? 이런저런 검사를 해도 정확한 원인을 찾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야 ...
이영진 전문의 답변입니다.
안녕하세요. 하이닥 비뇨의학과 상담의 이영진입니다. 의심스러운 관계후 3주차에 무통증 육안적 혈뇨를 보았군요. 비뇨기과에가서 모든 검사를 다해봤군요. 근데 이 ...
변상권 전문의 답변입니다.
안녕하세요. 하이닥 비뇨의학과 상담의 변상권입니다. 말씀만으로는 정확한 답변을 드리기 어려우나 전립선비대이나 양성종양의 가능성도 있지만 내시경을 통해서 확인하 ...
안녕하세요. 하이닥 가정의학과 상담의 홍인표입니다. 일반적으로 혈뇨 증상으로 검사를 해서 방광암을 진단하게 되지만 혈뇨가 없었으면 방광을 일부러 검사하지 않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