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닥

상담 목록

Question 불쾌한 가슴통증
11월 초부터 간헐적 1일 1식 단식과 중량+ 유산소를 통한 운동으로 다이어트를 하면서 96kg에서 86kg 까지 체중을 줄였습니다

11월 23일 헬스를 하다가 근력운동을 한 30분가량 운동중이었고 숨을 참고 몸을 들어 올리는데 갑자기 핑하고 기립성 저혈압처럼 어지럽고 한 1분 쉬었다 다시 했는데 다시 핑 돌아서 한 3분정도 쉬었다가 다시 45kg무게로 종아리 드는 운동중 또 핑돌더니 눈앞이 어지럽고 가슴에 고추가루가 뿌려진것처럼 여러곳에서 사하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한 2분에서 3분정도가 되면서 그 통증은 사라졌고 겁나서 바로 헬스장을 나왔습니다.

그날 저녁에 바로 간단한 달리기로 15분가량 뛰었지만 별이상이 없었고 다음날 계단 7층을 달려서 올라왔는데 숨이 차는것 외엔 어지럼증이나 가슴통증은 없었습니다.

평소에도 30분 근력 40분 유산소로 운동했는데 숨은 찼지만 어지럼이나 가슴통증은 없었고 전날 사케 450ml 정도 전전날에 소주 2병반 생맥주 500cc를 마셨습니다.

동네의 작은 종합병원 심장내과에 예약을 하고 12월 2일 심전도와 엑스레이를 찍고 운동중 가슴통증이나 숨이 격하게 차진 않는다고 말씀드렸고 심장내과 전문의 선생님은 심장쪽은 아닌것 같다고 저혈당으로 인한 순간 현기증 같다고 말씀하셨습니다
근력운동과 유산소 운동중에 숨이 안차면 이상없는 건가요?? 가슴에 통증이 있다고 하니까 정신적인 부분이라고 하네요 ㅡㅡ

9월에 건강검진에 심전도, 심장초음파에 이완기 장애(경미한 승모판에 폐쇄 부전), 동맥경화도 검사도 이상은 없었습니다.
2023년 5월 뇌혈관 MRI에서도 깨끗했었습니다.

그래서 다시 헬스클럽에서 약 2주간 운동을 하고있는데 계속 가슴에 불편한 통증이 남아 있었습니다
복부에 압력이 가해지거나 순간적인 앉았다 일어나는 행동에 약간 핑하는 느낌도 있었습니다.

중간 중간 소주 한병씩 두번정도 마셨고 11월 26일날 친구들과 삽겹살에 소주 한병을 마시고 4시간 수면, 27일 2시간 40분 수면, 28일 9시간 50분 수면, 29일 2시간 40분 수면을했고 27일부터 왼쪽 팔꿈치 아래와 무릎아래에 힘이 없는 느낌이 들면서 약간 저림 현상이 발생되었습니다

지금도 7층계단까지 조깅하듯이 슬슬 뛰어 오는데 크게 무리는 없고 간당한 달리기 20~30분은 가능합니다
겁이나서 중량 근력은 아직 못하고 있습니다.

가슴의 통증은 명치부터 한뼘사이에 왼쪽 오른쪽 위 아래 쑤시기도 하고, 쓰리기도 하고, 약간 체한듯 손가락으로 누르는것 같기도 하고 하루에 몇번씩 약 30초에서 2분사이 극렬한 통증이 아니라 약한 불편한 통증이 있습니다.

제가 고혈압 당뇨진단 받았고 혈압은 120대 80대로 관리중이며 당화혈색소는 5.7~6.2로 관리 중입니다 15년전 부터 교대근무 중입니다

복용하는 약은 로디비카정, 유한메트포르민서방정 100mg, 자디앙정 25mg, 글리메정 1mg(담당의 상담해서 제외)

명치 뼈를 누르면 통증이 있습니다

다른 병원을 방문해야 할까요?? 협심증인가요??

혹시 외과적인 부분은 없을까요?


answer Re : 불쾌한 가슴통증
최원석
최원석 전문의 시원하지흉부외과의원 하이닥 스코어: 1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1
질문자의 감사 인사 |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고맙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고맙습니다.

안녕하세요. 하이닥 흉부외과 상담의 최원석입니다.

걱정 많으시겠습니다. 내용을 읽어보니 단순 검사 등으로는 다 밝힐 수 없는 부분이 있어 보입니다.

술과 수면시간 등 생활습관 개선도 다소 필요해보입니다만
명치부위 불편감을 고려했을때 간담도, 위, 췌장 등에 문제가 있어도
그럴 수 있으므로 (2-3차)상급병원에서 흉부, 복부 CT 촬영 검사 등을 통해
조금 더 원인을 찾아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사실 이정도 검사까지 했는데 원인을 밝히지 못했다면
증상 조절을 위한 약제 등으로 경과관찰 해야될 것 같습니다.

심전도에서 뚜렷하지 않다고 협심증이 확실히 아니라고
말씀드릴 순 없고, 더 정확히 파악하시려면
심혈관촬영을 해야합니다만 이건 사전에 순환기내과(심장내과)
선생님과 상의를 충분히 하시고 결정하시면 좋겠습니다.

외과적인 부분은 검사에서 어느정도 질환의 윤곽이 잡히고
실제로 외과적인 시술, 수술이 필요하다고 판단이 되어야
진행 가능한 부분이어서 일단 검사와 상담을 더 정밀하게
받아보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본원은 하지정맥류 전문의원이라 더 이상 도움드리기 힘든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부디 빨리 건강 되찾길 기원합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