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닥

질환·치료

‘불안장애’, 70대 이상 노인에게 3배 이상 많아

입력 2014.07.21 11:46
  • 최은경·하이닥 건강의학기자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지난 5년 간(2008~2013년)의 ‘불안장애’로 인한 진료인원을 분석한 결과 70대 이상 노인에서 불안장애가 3배 이상 많고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불안장애란 공황장애, 범불안장애 및 사회 공포증, 특정 공포증, 광장 공포증 등 여러 진단으로 나뉘는데 진단마다 증상의 차이는 있으나 비정상적이고 병적인 불안과 공포가 핵심이다. 불안과 공포로 교감신경이 활성화되어 나타나는 자율신경계 증상이 두드러지며, 가슴 두근거림, 빈맥, 혈압 상승과 같은 심혈관계 증상을 비롯하여 초조, 떨림, 과호흡, 설사, 어지러움, 두통, 졸도, 절박뇨, 빈뇨, 저림, 동공 확장, 발한 등의 증상도 자주 나타나는 질환이다.

고개 숙인 노인고개 숙인 노인

국민건강보험공단의 발표로는 2013년 기준으로 연령대별 진료인원은 70대 이상이 인구 10만 명당 3,051명으로 가장 많고, 60대(2,147명), 50대(1,490명) 순으로 연령대가 높을수록 인구 10만 명당 진료인원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70대 이상 노인의 불안장애 진료인원(3,051명)은 60대 이하(877명)보다 3배 이상 많았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윤지호 교수는 노인층에서 불안 증상 환자가 많고 증가율이 높은 이유에 대해 “최근에는 이전 시대와 달리 자신의 노년을 스스로 책임져야 하는 사회 분위기 속에서 자식들을 위해 자신의 노후를 대비하지 못했던 분들이 현실을 직면하면서 불안이 증가하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또한, “젊은 사람들은 살기 바쁘고, 그들을 키워냈던 노인들은 정작 의지할 곳이 없어졌으며, 단순히 경제적인 것뿐만 아니라 신체적 건강과 기능이 상실되었을 때 돌봐줄 사람을 예측할 수 없다는 것이 불안 상승의 큰 요인”이라고 전했다. 윤 교수는 불안장애의 원인, 문제, 치료법, 예방 및 관리요령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 ‘불안장애’의 특징과 관리요령

1. 불안장애의 원인

불안장애에는 각기 다른 성격의 여러 정신질환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원인을 한마디로 규정하기는 어렵다. 일반적으로 불안이나 우울 등의 정서적인 부분을 담당하는 뇌신경 내의 신경전달물질인 노르에피네프린, 세로토닌, 감마아미노뷰티르산(GABA)의 부족 또는 과다, 유전적으로 타고난 소인, 뇌영상 연구에서 밝혀진 뇌의 기능적 또는 구조적 변화를 포함하여 사회심리학적인 측면, 과거의 경험과 현재의 받아들인 정보를 해석하고 판단하는 인지 행동적인 부분까지도 병적인 불안을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2. 불안장애의 문제

불안장애는 다양한 신체적 증상을 일으키기 때문에 몸에 큰 병이 생겼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불안이 신체 증상을 유발하기 때문에 신체적 이상을 느꼈을 경우 정신과적 문제라고 생각하기보다는 타과를 먼저 찾는 경우가 많고, 각종 검사를 받아도 이상이 발견되지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검사상 이상이 발견되지 않는 어지럼증, 가슴 떨림, 호흡곤란, 소화장애 등의 증상이 계속될 때는 불안장애를 의심해봐야 한다. 불안장애를 오래 방치할 경우 뇌 기능과 심혈관 기능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될 수 있으면 빨리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를 찾아 자문하고 치료 전략을 상의하는 것이 필요하다.

3. 불안장애의 치료법

불안장애는 약물치료와 인지행동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졌다. 불안 증상은 항우울제와 항불안제 등의 약물에 비교적 잘 반응하며, 단기간에 효과를 볼 수 있기 때문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치료방법이다. 인지행동치료 역시 다소 시간은 걸릴 수 있으나 약물치료에 버금가는 효과를 보기도 하는데 불안을 유발하는 생각이나 상황을 스스로 인지하고, 이러한 요인에 노출함으로써 환자가 보이는 불안 증상 및 행동을 교정하는 훈련을 통해 효과를 볼 수 있다.

4. 불안장애의 예방 및 관리요령

불안장애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므로 예방 자체가 쉽지는 않다. 적절한 상황에서 불안을 느끼는 것은 지극히 정상적인 반응이며, 불안과 공포의 감정을 통해 위험에서 벗어나게 해주는 작용을 한다. 불안장애는 대부분 과도한 스트레스나 심리적 외상을 통해 병적 불안이 유발되기 때문에 평소 적절한 휴식, 취미활동 등 심리적인 이완을 통해 스트레스를 조절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5. 주변(가족, 친구 등)의 대처요령

불안장애를 앓고 있는 사람 중 스스로 정신과적 문제임을 인식하지 못하거나, 인식하고 있다고 해도 정신과를 방문하는 것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으로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고 병을 키우는 경우가 많다. 주변에서 불안장애가 의심되는 사람에게 불안장애가 아닌지 스스로 인터넷 등을 통해 검색해 보도록 하고 필요한 정보를 주는 것이 필요하며, 반드시 전문의를 찾아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격려해 주는 것이 좋다.

URL이 복사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