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닥

질환·치료

십자인대 부상, 방치하면 관절염으로 악화될 수 있어

입력 2018.09.14 17:09
  • 최정연·하이닥 건강의학기자

과도하거나 과격한 운동 시 십자인대 부상 위험이 커진다. 하이닥 정형외과 상담의사 서동현 원장에게 십자인대 부상 시 처치와 치료에 대해 알아보자.

무릎 부상무릎 부상

십자인대는?

무릎의 가운데 위치한 십자인대는 대퇴골과 경골을 서로 연결하고 있으며 무릎이 앞뒤로 들리지 않고 정해진 궤도를 따라 움직일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종종 유명 스포츠 선수들이 운동을 하다 무릎을 다쳤다는 뉴스가 나오는데, 이렇듯 운동선수들의 무릎 부상은 십자인대 손상인 경우가 많다. 일반인들도 운동을 하다가 많이 다치는 부위가 바로 무릎 십자인대다. 십자인대를 다치면 X-ray 상으로는 판별하기가 쉽지 않으므로 운동 후 무릎이 붓고 통증이 발생했다면 병원에서 정확한 검진을 받아보는 것이 좋다.

과도한 사용이나 충격이 원인이다

십자인대의 손상은 대개 경골과 대퇴골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무릎 관절이 과도하게 늘어났을 때 발생한다. 관절의 회전 방향, 혹은 힘을 받는 방향에 따라 전방십자인대 혹은 후방십자인대가 손상된다. 주로 스키, 축구, 농구, 배구, 럭비 등과 같은 운동 중 점프 후 착지할 때, 빠르게 달리다가 갑자기 멈추거나 방향을 바꿀 때, 운동 중 다른 선수와 부딪혔을 때 발생하기 쉽다. 많이 쓰이는 인대인 탓에 손상의 빈도도 크다. 무릎에 충격, 과신전 또는 회전력이 가해지면 인대가 늘어나긴 하지만 고무줄처럼 탄력에 어느 한계를 넘어서면 뚝 끊어져 버리는 부상을 당하게 되는 것.

운동 중 무릎 부상운동 중 무릎 부상

십자인대 파열의 대부분은 전방십자인대

전방십자인대는 대퇴골을 중심으로 아래쪽의 경골이 앞으로 빠지는 것을 막아주는 구조물이며 후방십자인대는 반대로 경골이 뒤쪽으로 빠지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해부학적 뼈의 구조상 대퇴골을 중심으로 경골이 뒤로 밀리는 경우보다는 앞쪽으로 밀리는 경우가 더 빈번하게 발생한다. 때문에 전방십자인대파열이 더 쉽게 파열된다. 후방십자인대는 전방십자인대보다 굵기도 약 1.5배 굵고, 활액막이라고 하는 구조물에 싸여있어 손상을 받아도 완전 파열이 되는 경우가 드물다.

관절이 붓고 통증이 나타난다면 혹시?

전방십자인대가 파열되면 관절 속에 출혈이 발생해 손상 부위가 붓고 관절이 불안정해 통증이 생긴다. 무릎 부상 당시 무엇인가 찢어지는 듯한 느낌이나 소리가 들리고, 무릎이 심하게 붓고, 걷는 것이 불안정하고 불쾌한 느낌이 들면 전방십자인대 파열 증상으로 볼 수 있다. 인대가 파열되는 순간 ‘퍽’하는 소리가 나며 금세 관절이 붓고 통증이 나타나다가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붓기가 빠지면서 통증은 완화된다. 하지만 불안정한 느낌은 남아있게 된다. 자동차에서 내리거나 계단 등을 내려갈 때 갑자기 다리가 빠지는 느낌이 나기도 하고 평소에는 통증이 별로 느껴지지 않으나 무릎 주변이 부었다 빠졌다를 반복하기도 한다. 운동 시에는 다리의 무력감과 함께 무릎이 어긋나는 느낌 즉, 불안정한 느낌이 지속된다. 하지만 2~3일이 지나면 보통 통증이 사라지기 때문에 인대 파열을 인식하지 못하고 타박상으로 오인해 치료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

무릎 부상을 호소하는 성인무릎 부상을 호소하는 성인

방치하면 관절염으로 악화한다

십자인대를 다치면 무릎이 붓고 멍이 들었다가 2~3일 지난 후 가라앉을 수도 있어 단순타박상으로 오인하는 경우가 많다. 다쳤는데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추가로 연골판 손상까지 함께 일으킬 수 있어 만성적인 무릎 통증이 반복될 수 있다. 실제 십자인대 손상은 반월상 연골판 손상 및 측부인대 손상 등이 동반되는 경우도 많다. 때문에 연골 손상에 의한 관절염으로 진행될 수 있어 위험하므로 무릎에 통증이 올 때는 조기에 진단 받고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완전히 파열된 십자인대는 수술해야 한다

십자인대가 약간 다친 정도라면 깁스나 무릎 보조기 등으로 다친 부위를 고정하고 약물과 물리 치료를 통해 치료할 수 있다. 보조기를 차고 목발을 사용해 체중부하를 하지 않은 상태로 약 4~6주간 안정 가료 후 관절 운동을 시행하는 치료를 한다. 그러나 완전히 파열된 십자인대는 저절로 붙는 자연 치유가 거의 없어 대부분 수술로 치료해야 한다.

수술은 보통 인대 재건술이 많이 시행되는데, 환자 자신의 조직을 이식하는 자가이식과 다른 사람의 것을 이식하는 타가이식 등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자가이식 시에는 우리 몸에 있는 건 중에서 부분채취가 가능한 튼튼한 건을 이용하고, 타가이식 시에는 장기 이식과 마찬가지로 타인의 아킬레스건이나 후경골건 등을 특수처리 한 후 이용한다. 초소형 카메라가 달린 내시경을 이용해 수술하며 4mm정도로 작게 절개하기 때문에 출혈이 적고 통증이 별로 없다. 입원 기간은 일주일 정도로 길지 않고, 보조기 착용 후 보행도 가능하다. 수술 2주 후 정도에 실밥을 뽑고 4~6주 후에는 보조기를 풀 수 있다. 수술 후 회복기간을 가지면 예후가 좋아서 웬만한 스포츠를 즐길 수 있다.

치료 중치료 중

수술보다 재활이 더 중요하다

수술만큼 중요한 것이 재활 치료와 운동이다. 회복 속도에 따라 병원에서 지시하는 유산소운동이나 대퇴부 근육 강화 훈련, 무릎을 굽혔다 폈다 하는 관절 범위 운동을 지속적으로 해주는 것이 좋다. 수술 3개월 후에는 수영이나 조깅 등 간단한 운동을 할 수 있지만, 인대가 완전히 아물고 다리의 근력이 회복되는 9개월 이후로 격렬한 운동은 미루는 것이 안전하다. 비수술로 치료하더라도 인대가 아무는 동안 관절을 고정하고 안정가료를 시행하기 때문에 주변 근육의 위축이 발생하고 관절강직이 발생한다. 따라서 재활치료가 반드시 필요하다.

글 = 하이닥 의학기자 서동현 원장 (정형외과 전문의)

URL이 복사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