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하이닥 운동상담사 김민정입니다.
현재 제공해주신 정보를 기반으로 건강검진 결과가
좋지 않게 나온 가능성과 개선 방안을 정리하겠습니다.
아래 도움 되는 정보를 한 번 참고해보시기 바랍니다.
1. 건강검진 결과 이상 가능성
(1) 간 수치 이상 (AST/ALT 상승)
가능한 원인:
고단백 섭취와 운동으로 인해 근육 손상 후 회복 과정에서 간 효소 수치가 일시적으로 증가할 수 있음.
크레아틴 복용 초기 및 고단백 식단이 간에 부담을 줄 가능성.
밀크씨슬, 크레아틴, 비타민C 메가도스 등이 간의 대사에 영향을 줄 가능성.
(2) 신장 관련 수치 이상 (크레아티닌, BUN 상승)
가능한 원인:
고단백 식단과 크레아틴 복용으로 인해 크레아티닌 수치가 높아질 수 있음.
과도한 단백질 섭취는 신장에 부하를 줄 수 있음.
체내 수분 섭취량이 적절해도 고강도 운동과 식단이 신장 기능 평가에 영향을 줄 수 있음.
(3) 고지혈증 가능성
가능한 원인:
닭다리살로 바뀐 식단으로 인한 포화지방 섭취 증가.
운동 후 미숫가루 섭취 등 탄수화물 과다 섭취로 인한 중성지방 증가 가능성.
(4) 혈압 및 심혈관 건강
가능한 원인:
탄수화물과 나트륨 섭취가 많아지면 혈압 상승 가능성이 있음.
유산소 운동 부족으로 심혈관 건강 지표에 부정적 영향 가능.
2. 개선 방안
(1) 식단 조정
단백질: 단백질 1일 섭취량을 체중(kg)당 1.6~2.0g으로 조절. (72kg 기준 115~145g 권장)
지방: 단일불포화지방과 오메가3를 늘리고 포화지방 섭취를 더 철저히 제한.
탄수화물: 미숫가루나 단순 탄수화물 섭취를 운동 직후로 제한하고,
섬유질이 많은 탄수화물(현미, 귀리 등)을 유지.
(2) 유산소 운동 추가
주 2~3회, 30분 이상 가볍게 걷기, 러닝, 싸이클과 같은 유산소 운동 추가.
심혈관 건강 증진과 체지방 감소에 도움.
(3) 크레아틴 복용 주의
크레아틴 복용 중 신장 수치를 주의 깊게 모니터링.
물 섭취량을 3~3.5L로 유지하며, 운동 강도에 맞춰 크레아틴 복용량을 재조정.
(4) 비타민 및 영양제 관리
비타민C 메가도스 빈도 줄이기: 과도한 섭취는 신장 결석 및 신장 부담 가능성.
복합 영양제나 추가 영양제는 주기적으로 필요성을 점검.
(5) 건강검진 재평가
1~3개월간 개선 방안을 실천한 후, 재검사를 통해 변화 확인.
특히 간, 신장, 콜레스테롤, 혈당 관련 수치를 주의 깊게 점검.
(6) 전문가 상담
의사나 영양사와 식단 및 운동 계획을 구체적으로 상담.
필요시 간단한 유산소와 근력 운동 밸런스를 조정하거나, 추가 검사를 통해 원인 확인.
3. 요약
식단 조정: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비율 최적화 및 단순당 섭취 조절.
운동 추가: 유산소 운동 추가로 심혈관 건강 개선.
영양제 관리: 크레아틴, 비타민C 섭취량 점검.
의료 상담: 결과에 따른 추가 진단과 맞춤형 계획 수립.
이런 개선책을 통해 결과를 점진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을 것입니다.
건강검진 세부 수치가 있다면 더 구체적인 조언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