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닥PRO 승인 검토중이니 조금만 더 기다려 주세요.
송슬기 전문의 답변입니다.
안녕하세요. 하이닥 외과 상담의 송슬기입니다. 네 그렇습니다. 올려주신 사진 소견으로는 흔히 쓰이는 약제입니다. 안심하시고 복용하시고 경과 관찰 하시고 재진 ...
김창래 전문의 답변입니다.
안녕하세요. 하이닥 내과 상담의 김창래입니다. 약물에 의한 이상반응일 수도 있고 식도나 위를 자극하여 흉통이 나타났을 수도 있습니다. 내성 걱정은 하지 않아 ...
안녕하세요. 하이닥 내과 상담의 김창래입니다. 급성 임파선염에 가장 흔히 처방되는 항생제 입니다. 진료 후 처방 받은 약이라면 걱정하지 말고 복용하시면 되겠습 ...
안녕하세요. 하이닥 내과 상담의 김창래입니다. 상기도 감염과 동반된 임파선염 가능성이 높습니다. 감기가 호전되면 저절로 줄어들게 되니 감기 호전 후에도 멍울 ...
박종원 전문의 답변입니다.
안녕하세요. 하이닥 신경과 상담의 박종원입니다. 백신 주사후 가능한 현상입니다. 약을 먹고도 지속되는 경우가 흔하며 이 경우 소염제를 꼭 계속 복용할 필요 ...
안녕하세요. 하이닥 내과 상담의 김창래입니다. 1. 임파선 비대가 있다면 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여 정확한 크기와 모양에 따라 치료 여부를 결정해야 하며 크기가 ...
안녕하세요. 하이닥 내과 상담의 김창래입니다. 근접 사진이 없어 정확하게 이야기하기 어려우나 임파선염,모낭염 모두 가능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크기가 커지거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