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닥

상담 목록

Question 인유두종바이러스 에 대하여 감염경로와 치료방법에 대하여알고싶습니다.

- 상담내용 : 저는37세에 자궁과 오른쪽난소 적출환자입니다 얼마전 병원에서 검사결과 인유두종바이러스라는 진단을받았습니다. 저 한테 이러한 병이 생길수있는지요  참고로 남편과 주말부부로 지내는대 남편에게 여자가있느건 알고있지만 그로인해 감염돼었는지요 대부분 성접촉을통해 생긴다고하는대 이말이 근거있는지요 답변주시면 고맙겠습니다 또한 치료방법은있는지요/?


answer Re: 인유두종바이러스 에 대하여 감염경로와 치료방법에 대하여알고싶습니다.
박정원
박정원 박정원 하이닥 스코어: 24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안녕하세요. 하이닥 산부인과 상담의 박정원 입니다.

1. 음부 파필로마 바이러스 감염이란?
음부 파필로마 바이러스 감염이란 HPV(human papilloma virus)에 감염되어 일어나는 성병입니다. HPV는 100가지 이상의 세부 종(種, type)이 있는 바이러스 입니다. 이들 중 30개 이상의 바이러스가 성관계로 전파 가능하여 남성의 외 성기, 여성의 외 성기, 항문, 질표면, 자궁 경부, 직장 등 남성과 여성의 성기부에 감염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성기부에 감염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를 분류하면 고 위험 형과 저 위험 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고 위험 형이란 자궁경부, 여성의 외성기, 질, 항문, 남자의 외성기 등에 암을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이중 가장 흔히 문제가 되는 것은 자궁경부암입니다.

자궁경부암의 조기 진단에 PAP smear 라는 세포검사가 널리 쓰이는 데 고 위험 형 바이러스는 이러한 세포검사에서 비정상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자궁경부암의 원인으로 작용한다고 알려졌습니다.

반면 저 위험 형 HPV바이러스는 PAP smear 검사에서 변화를 가져오더라도 고 위험 형에 비해 세포변화가 심하지 않은 경한 정도로만 변성 가능하며 일반적으로 성기 사마귀를 야기합니다. 성기 사마귀는 외성기나 질 입구, 성기 주위에 닭볏이나 양배추 모양의 작은 혹처럼 생기며 이 질환에 대해서는 콘딜로마라는 병에서 자세히 나와 있습니다.

2. HPV에 감염되면 다 증상이 생기나요?

그렇지 않습니다. 100가지가 넘는 HPV중 성기부에 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것은 30여 가지로 알려졌습니다. 또한 이들이 성기부에 감염이 되어도 대부분 아무런 증상을 일으키지 않으며 우리 몸의 면역 반응에 의해 바이러스가 없어지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3. 파필로마 바이러스는 얼마나 흔한가요?

우리나라는 비교적 HPV에 대한 검사가 최근에 시행되어 아직 정확한 통계가 부족합니다. 미국에서의 보고에 의하면 현재 2천만 명 정도의 사람들이 감염되어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성적으로 활발한 사람은 두 명 중에 한 명 이상 적어도 일생에 한 번은 HPV에 감염이 된다고 보고 있습니다. 50세가 된 여성 중 80% 이상이 HPV에 감염되어 있습니다. 매년 620만 명의 미국인들이 새로 성기 파필로마 바이러스에 새로 감염이 됩니다.

4. 성기 HPV 어떻게 감염되나요?

성기 부에 전염되는 HPV는 주로 직접적인 성기 부 접촉에 의해 전파됩니다. HPV에 감염되더라도 대부분은 아무런 증상이 없기 때문에 본인도 모르는 증상을 성 상대자에게 전염시키게 됩니다. 산모가 HPV에 감염되어 있는 경우 드물게 출산이 신생아에게 HPV의 전염이 가능합니다. HPV에 노출된 신생아는 드물게 성대나 인두에 사마귀가 생길 수도 있습니다.

5. HPV에 전염이 되면 어떤 증상이 생기나요?

HPV에 감염된 대부분의 사람은 자신이 HPV에 감염되었는지 모릅니다. 바이러스는 피부와 점막에 살며 일반적으로 아무런 증상도 만들지 않습니다. 증상이 생기면 외성기부 사마귀 증상을 만들며 드물게 자궁경부, 여성 외성기, 항문, 남성 외성기 부위의 전암병변(pre-cancerous lesion)을 만들 수 있습니다. 아주 드물게 HPV 감염은 항문, 성기부의 암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가장 흔히 생기는 증상인 성기 사마귀는 성기나, 항문, 질 등의 부위에 통증이 없고 피부색이나 회색빛의 작은 혹으로 나타납니다. 이러한 사마귀가 있는 상태에서 성관계를 하면 상대자에게 전염 가능하나 항상 그런 것은 아닙니다.

6. HPV는 어떻게 진단하나요?

여성의 HPV 감염은 대부분 자궁경부암의 검진과정인 PAP smear 후 이상소견 때문에 진단이 됩니다. 자궁경부암이나 전 암 병변의 선별검사(screening test)로 가장 흔히 쓰이는 검사가 PAP smear 검사에서 경한 이상이 있는 사람이나, 또는 30세 이상인 여성에서 PAP smear와 함께 검사에 이용되며 두 가지 검사 결과를 토대로 추가검사나 치료를 결정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HPV DNA 분석법은 HPV의 존재 유무뿐만 아니라 고위험군과 저위험 군까지도 정확히 구분 가능한 장점이 있어 최근 국내에서도 이용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7. HPV는 어떻게 치료하나요?

국내에서 아직까지 HPV를 체내에서 주사나 약으로 박멸시킬 수 있는 방법은 없는 실정입니다. 최근 미국에서 3상 실험까지 끝난 HPV vaccine이 개발되어 제약회사에서 양산에 들어간다는 보고가 있으며 논문들에 의하면 치료효과는 80% 이상이 된다고 보고되고 있습니다만 아직 국내에 보급되지는 않았습니다.

현재까지 HPV의 주된 치료는 피부나 점막에 변화가 와 있을 때 그 부위의 국소요법으로 제한되어 있습니다. 즉 자궁경부의 전암병변이 발생하였다면 그 부위의 바이러스를 치료하는 것이 아니라 그 병변 자체를 수술 등의 요법으로 제거하는 것으로 암으로의 진행을 막는 방법입니다. 또한 성기 사마귀가 발생한 상태라면 사마귀 발생부위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국소 치료를 진행하는 것입니다. HPV는 우리 몸의 면역 반응에 의해 저절로 없어질 수 있습니다.

8. HPV 감염과 자궁경부암의 관계에 대해 알려주세요.

모든 종류의 HPV는 PAP 검사에서 경한 정도의 세포변화를 만들 수 있으며 그런 변화는 심각한 결과를 가져오지는 않습니다. 10에서 30종류의 HPV가 드물게 자궁경부암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한 조사에 의하면 자궁경부에 HPV감염이 있다고 하더라도 감염된 여성의 90% 정도에서 HPV는 2년 내에 발견되지 않을 정도로 없어지고 아주 소수의 여성에서만 지속적인 감염으로 진단되었다고 합니다. 고위험군의 HPV에 의한 지속적인 감염만이 자궁경부암의 주된 위험 인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9. 검사에서 HPV 고위험군에 의한 감염이라고 진단되었어요. 어떻게 해야 하나요?

자궁경부암의 선별적인 검사인 PAP smear는 자궁경부의 전 암세포나, 암세포를 찾아낼 수 있습니다. HPV에 감염되어 있다면 일반적인 여성에서 보다 PAP검사의 간격을 줄이고 HPV에 대한 검사도 병행하여 바이러스나 세포의 변화를 관찰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미국에서는 물론이고 우리나라에서도 과거와는 달리 자궁 경부암은 초기 때 발견이 많이 됩니다. 이것은 정기적인 검사 덕택이고 실제로 진행된 자궁 경부 암으로 진단되는 여성들의 대부분은 정기적인 PAP smear 검사를 하지 않았던 경우라고 밝혀져 있습니다.

2004년 미국 통계에 의하면 10,520명의 여성에서 진행된 자궁 경부 암이 진단되었으며 그 중 3,900명이 사망하였습니다. 진행된 자궁 경부 암으로 진단된 여성의 대부분은 정기적인 자궁암검사를 받지 않았던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10. 성기 HPV 감염을 예방하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가장 확실한 예방법은 모든 종류의 타인과의 성관계를 금하는 것입니다. 성관계는 될 수 있는 데로 성병에 걸리지 않는 것이 확인된 한 사람으로만 제한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오랫동안 일대일 성관계만 유지하는 것이 어려운 사람은 성 상대자의 수를 줄이는 것이 유리합니다.

성 상대자를 고를 때 감염의 위험이 낮은 사람을 선택합니다. 감염의 위험이 낮은 사람이란 이전에 성 상대자가 없었든지 숫자가 아주 적은 경우들을 포함합니다. 남성과 여성 모두 HPV감염은 콘돔으로 가려지는 부위뿐만 아니라 가려지지 않는 부위까지 일어날 수 있습니다. 콘돔의 사용이 HPV감염을 막을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콘돔의 사용은 HPV와 관련된 자궁 경부 암의 위험은 감소시킨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