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닥

상담 목록

Question 치수염.,

- 상담내용 : 제가 질문드렷는데. 치수염같거든요? 인잡치아가 빠진지 1달이다되가는데 치수염이 낳을기미가안보이네요.. 염증도잇고 크게.. 말해다싶이. 잇몸쪽에 누공도잇고.. 그리고 http://ko.wikipedia.org/wiki/%ED%8C%8C%EC%9D%BC:Tooth_section_international.png 

여기서 치아의 구조를봣는데.. 혈관과 신경에 안들어 간다고하셧는데.. 잇몸에도 신경과 혈관이 이그림에 잇더라고요. 그래도 정말로 음식물이 안들어가나요? 잇몸염증이낫는데도요? 잇몸에 구멍(누공)이깊게뚫렷는데도요? 제가 신문기사를봐서 이렇게 질문드리네요ㅜ 걱정되서요.,

신문에 이런기사가 잇네요.
치아가 깨진 경우의 치료 방법은 깨진 부위의 깊이나 위치에 따라 달라지게 됩니다.

깨진 정도가 깊어 치아 중앙부위에 있는
신경조직이 노출되거나 치수에 심한 자극이 가서 치수염이 생긴 경우에는 우선 신경치료를 하고 치아를 금관으로 씌워서 보호해 주어야 합니다.

신경조직이 노출된거면 음식물도 들어간다는소리아닌가요?


그리고 염증이랑 신경이랑 이어져 잇을수도잇다는데. 제가 그거같거든요.. 신경에서 생긴염증인가? 염증으로 음식물이들어가면 신경이랑 이어져 있으니까 신경으로 가지않나요?


answer Re: 치수염
박영국
박영국 의사 경희대학교치과병원 하이닥 스코어: 2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안녕하세요. 하이닥 네이버 지식인 치과 상담의 박영국 입니다.

치아의 속에는 "치수"라는 신경과 혈관 및 결체조직으로 구성된 부분이 있습니다. 충치가 진행되거나 치아가 부러지던가 하여 이 치수가 노출이 되면 치수에 염증이 생깁니다.

치수의 염증은 급 만성으로 진행하여 여러 다양한 증상으로 표현됩니다. 만성 치수염의 경우 치아 뿌리 끝 부분의 근단공을 통하여 염증이 잇몸뼈로 까지 확산되고 경우에 따라 잇몸 바깥으로 누공을 형성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치수염의 일반적인 치료는 근관치료(보통 신경치료라고 말합니다)를 통하여 치아 내부의 치수강 조직을 제거하고 여러약제를 이 부분에 채워넣게 됩니다. 근관치료된 치아는 부스러지기 쉬워서 크라운(어금니의 경우 금관 또는 도재관)을 씌우게 됩니다.
 
선생님의 경우 치수염으로 인한 누공형성이라면 더 확산되기 이전에 신속한 신경치료가 필요합니다. 혹 더 상세한 내용은 치과 보존과 전문의에게 문의하시면 보다 정확한 말씀을 들으 실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