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닥

상담 목록

Question 동종 반월상연골판 이식수술 궁금합니다.

- 상담내용 :

안녕하세요

저는 35세 남자입니다.

1995년에 연골판 파열로 12cm정도 절개하여 연골 제거수술을 받았습니다.

그런데 4주전 무릎이 걸을수 없을 정도로 아프면서 부었습니다.

그래서 일반정형외과에가 치료받으면서 약을 먹은후 부기는 빠졌지만 약간 걸을수 있는 상태가 되었습니다

수술한 자리라 자세히 알아보기 위해서 MRI촬영했는데 반월연골이 무릎바깥쪽은 남아있고 안쪽은 수술할때 연골절개를 너무 많이해 거의 남아있지 않다고 합니다..

무릎이 콕콕쑤시고 뒤고 쭉폈을때 힘이 빠지면서 무릎앞 둥근뼈부분이 뚝떨어지는 느낌이 듭니다.

현재도 뻐근한 상태이며 걷는데  불편이 있습니다. 무릎 둥근뼈 위쪽이랑 왼쪽 중간안쪽부분이 아픕니다.

그리고 관절약과염증약을 처방받아 먹고 있습니다..

병원에선 이식술을 추천하셨는데 이식술밖에 방법이 없는것인지 궁금합니다.

동종반월상연골판 이식술을 만약하게되면 시술방법은 어떻게 진행되며 연골은 어떤것을 사용하는지요?  입원은 얼마나 해야되는지요? 수술비용도 궁금합니다.(의료보험적용 되나요)

여기는 지방이고 일을하고 있어서 확실하게 알고 진료받고 싶습니다.

진료를 받게되면 바로 진단과 수술을 받을수 있는지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answer Re:동종 반월상연골판 이식수술
이진수
이진수 전문의 이진수정형외과의원 하이닥 스코어: 1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안녕하세요, 하이닥 정형외과 상담의 이진수 입니다.
 
반월상 연골은 체중을 분산시키고, 관절의 안정성에 중요한 역활을 하며 관절연골을 보호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이런 반월상 연골에 손상이 생기면 관절연골이 손상되어 관절염이 조기에 발생하게 됩니다.
반월상 연골 아전제술, 전절제술을 시행하고 무릎에 통증이 오면 동종반월상 연골 이식술을 하면 많은 도움이 됩니다.
 
의료보험 적용이 해당하는 경우는 반월상 연골 아전절제술 또는 전절제술을 받은 경우라면 외측 반월상인 경우 수술 후 6개월, 내측 반월상이 경우에는 1년, 방사선 사진상 1~2 단계 이하의 관절염 소견, 나이가 만 45세 미만의 조건이 있어야 합니다. 해당하지 않으시면 개인부담으로 수술을 받으셔야 합니다.
 
수술 후 입원 기간을 일주일 정도, 수술 후 6주간 보조기 착용과 목발 보행이 필요합니다.
 
진료 후에 진단은 촬영한 MRI 를 가지고 오시면 바로 가능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