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닥

상담 목록

Question 무릎에 찬 물을 빼고 무릎통증이 훨씬 심해졌어요.
안녕하세요. 의학적 지식이 거의 없어서 병원 의사들에게 물어보았지만, 속시원한 답변을 듣지 못해 이렇게 온라인상으로 상담을 합니다.
 저희 어머니께서 몇 개월 전에 자전거를 타다가 무릎에 통증이 느껴져서 병원에서 검사를 받았습니다. MRI 검사 결과 반월상연골파열(작은 조각이 떨어져나감)에 무릎 앞쪽에는 퇴행성 관절염이 진행중이라고 하였습니다. 치료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수술해야 하는가 의사선생님께 여쭤보니 심한 게 아니고, 어차피 재생이 잘 안되기 때문에 그냥 조심하면서 살면 된다는 처방을 받았습니다.
  그 이후로 어머니께서 외도에 놀러갔다가 오신 후에 다시 통증이 느껴져서 서울의 모 종합병원 정형외과에 진료를 받으러 갔더니 주사기로 무릎에 찬 물을 2회 뺐습니다. 두 번째 뺄 때는 거의 나오지 않고 대신 뽑는 와중에 피가 섞여 나와 그만 뺐습니다. 
  문제는 그렇게 물을 빼고 나서부터 무릎에서 딱하는 소리와 함께 엄청난 통증이 느껴지고 걸을 수도 없게 된 것입니다. 2개월여를 걷지도 못할 정도로 통증이 느껴졌었고 지금은 조금 나아졌지만 그래도 여전히 뻐근한 느낌과 함께 걸을 때마다 통증이 있고 체중을 전혀 실을 수 없습니다. (움직이지 않고 가만히 있으면 통증이 없음)
  이제 궁금한 점을 여쭙겠습니다. 정말 아는 의사분도 없고 의학적 지식도 없어 답답한 마음에 여쭙는 것이니 뭐 이런 질문이 다 있나 생각지 마시고요.
첫째, 무릎에 물이 안 차 있는데 주사기로 물을 빼듯이 하면 무릎에 중요한 어떤 액체 성분이 빨려들어올 수 있는가.(당시 주사기로 뺀 물이 노랗고 말간 액체였음)
둘째, 만약 위의 상황이 가능하다면 무릎에 중요한 성분을 주사기로 빼내었을 때 무릎이 뻐근하게 느껴지며 통증이 느껴지는 것과 연관이 있는가.
셋째, 만약 위의 상황이 가능하다면 무릎에 중요한 성분이 자연적으로 재생이 될 수 있는가. 없다면 다른 방법이라도 있는가.
넷째, 만약 위의 상황이 불가능하다면 물을 빼자마자 딱딱소리가 난 것과 뻑뻑하고 뻐근한 느낌은 왜 들었던 것인가.
다섯째, 만약 위의 상황이 불가능하다면 무릎 통증이 갑자기 심해진 원인이 무엇 때문인가.
 
  부디 정확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답변에 대한 그 어떤 책임이나 이런 것들을 요구하는 일 절대 없습니다. 너무 답답해서 정확히 알고 싶어서 이렇게 상담글을 올리는 것입니다.


answer Re: 무릎에 찬 물을 빼고 무릎통증이 훨씬 심해졌어요.
임경린
임경린 전문의 엘에스정형외과의원 하이닥 스코어: 235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안녕하세요. 하이닥 정형외과 상담의 임경린입니다.

무릎 연골판의 퇴행성파열이 있으시군요.

연골판의 퇴행성파열은 기본적으로는 관찰을 해보는 것이 원칙이지만, 갑자기 증상이 심해지면 수술을 생각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물론 수술을 해도 관절의 퇴행성변화가 사라지지는 않으니 불편함은 여전히 남습니다. 그러나 연골판의 파열이 커져 퇴행성이 갑자기 진행하는 것을 어느 정도 막을 수 있습니다.

연골판에는 통증을 느끼는 신경이 없습니다. 그래서 연골판이 손상되어도 무릎에는 통증이 없습니다.

그러나 실제로 무릎에 통증을 느끼는 이유는 연골판 주변의 관절막이 이차적으로 붓기 때문입니다. 관절막이 부으면 통증이 생기고, 물도 차오릅니다.

무릎에 물이 찼을 때 물을 빼는 이유는 우선은 색을 보고 원인을 알기 위해서입니다. 그리고 물이 차면 움직일 때 관절의 불편함이 커지니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 입니다.

염증이 있을 때의 무릎관절액은 정상적인 액이 아니므로 제거해도 문제는 없습니다. 그리고 관절액을 제거하면서 피가 같이 나오는 것은 흔한 현상입니다.
염증이 있는 관절막을 주사기로 뚫으니 혈관에서 피가 일부 나올 수 밖에 없습니다.

어떤 이유로 이렇게 생각하시는지는 모르겠지만, 현재 통증과 불편함은 관절액을 빼는 것과는 전혀 관계없는 소견으로 생각됩니다.

만약 평소에 무릎에 퇴행성 소견으로 연골조각이 떠다니다가 관절액이 이동하면서 어딘가에 끼이는 현상이 생겼다면 그럴 수도 있겠지만, 흔히 볼 수 있는 현상은 아닙니다.

무릎에 물을 빼고 나타난 현상들은 모두 퇴행성관절염에서 흔히 보는 소견입니다.

치료는 무릎전문의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