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닥

상담 목록

Question 이게 방광염 맞나요?...

안녕하세요.

2009년부터 매우 피곤하거나 스트레스를 받으면, 소변을 봐도 불편하고...소변을 본 후, 딱히 설명하기는 힘든데, 뭔가 불편한 느낌이 들고 그랬어요.

이후에도 피곤할때마다 조금씩 그랬는데 내과 가서 소변검사 하면 정상,이고, 약먹으면 금방 좋아져서 크게 신경쓰지 않았습니다.

그러다 작년 가을, 증상이 계속되어 비뇨기과 방문, 혈뇨검사+잔뇨검사 결과는 정상인데, 내진하신 의사선생님 말씀이 "아프겠다." "다른 사람들은 이렇지 않다" 하시면서 내진후 촬영된 사진을 보여주셨습니다. 성관계도 전혀 없었는데, 그 의사선생님 말씀으로는, 잡균이 감염되었을 수도 있다,고 하셨어요.

그러다 또 괜찮아져서 이후 비뇨기과도 가지 않다가 이번 겨울에 증상이 심해져서 가까운 가정의학과를 가서 소변검사를 했더니, 혈뇨가 보였다고 하셨어요(현미경적 혈뇨). 그리고 신장감염 위험이 있다고 옆구리가 결리거나 고열이 나면 즉시 병원에 와야 한다고 하셨습니다.

하지만 옆구리가 결리지는 않고, 고열도 나지 않았어요.

그래서 계속 가정의학과에서 처방받은 약-씨트로정, 플루시드정,레오다제정, 케이비피드정-만 먹었고, 괜찮은것 같았는데,2월 중순에 한번 더 소변검사를 했더니 또 혈뇨가 관찰되었습니다.

지난달 산부인과도 가본적 있는데, 방광 자체에 문제가 있을수 있다며, 산부인과에서 치료해주기 어렵다,며 비뇨기과를 가라고 하셨어요. 이후 비뇨기과 치료를 고민중인데 아무래도...미혼 여성이 가기엔 쉽지는 않아서 망설여집니다.

지금, 바로 요며칠 상태 증상은,
다른 건 전혀 없는데,

제가 목이 휘고 허리 자세가 안좋아서 허리를 90도로 바르게 펴려는 연습을 하고 있는데, 곧바레 자세를 세우면 ...아픕니다. 많이 아프진 않은데 불편해서 허리를 90도로 펴는게 좀 힘들어서, 허리를 구부정하게 하고, 의자에 엉덩이만 걸터앉고 있습니다.

이건,

1. 큰 병원에 가서 어떤 검사를 해볼 필요가 있나요? 해야 한다면 어떤 검사가 필요한지...

2. 가정의학과 치료를 계속 받는것보다 비뇨기과 치료를 받는 것이 더욱 현명할까요?

3. 비뇨기과에 가서, 산부인과적 내진, 을 하지 않을수도 있나요? 산부인과적 내진을 하지 않으면, 정확한 진단이 불가능한가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answer Re :이게 방광염 맞나요?...
최호성
최호성 전문의 피어나의원 하이닥 스코어: 9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안녕하세요? 하이닥 비뇨기과 상담의 최호성 입니다.

소변검사에서 세균이 검출되지 않고, 항생제 복용 후에도 증상이 계속 재발한다면 단순한 방광염은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소변검사에서 염증이 없이 소변을 자주 보고, 소변을 볼 때 요도 및 요도 주변의 통증이 느껴진다면 여성요도증후군(Female urethral syndrome)이 더욱 의심됩니다.

여성요도증후군은 세균성 방광이나 요도에 염증 소견이 없이 요도 및 요도 주변의 자극이 느껴지는 질환으로 요도의 '저린 느낌', '뻐근함' 등의 묵직한 불편감이 가장 흔합니다. 때로는 음핵 부위까지 불편감이 느껴지기도 합니다.

이러한 여성요도증후군은 요도 주변의 신경과 근육이 과민해지는 것이 원인으로 초기 세균감염에 의해 시작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그 이후에는 세균감염이 없어도 요도 및 주변의 골반근육이 과민해져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그 밖에 심리적 요인, 요도 협착 등의 문제가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소변검사 결과는 대개 정상으로 나오게 됩니다.

여성요도증후군은 진단과 치료가 모두 어렵습니다. 따라서 비뇨기과 전문의라 하더라도 정확한 진단을 내리기 어려울 수 있어 전문적인 치료를 쉽게 받지 못하는 경우가 흔합니다. 치료는 약물치료, 물리치료 및 주사치료를 통해 상당한 효과를 보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일반적인 비뇨기과보다는 전문적인 여성비뇨기과 진료를 받으셔야 합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내진이 필요할 가능성이 높으며, 치료를 위해서는 불가피한 부분입니다.
더 이상 불필요한 항생제 복용을 피하시고 여성비뇨기과를 방문하셔서 상담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참고로, 카페인(커피, 녹차 등)과 술은 피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감사합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