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병원에서 일하고 있는 여자입니다.. 얼마전 환자 인슐린 놓고 나서 그 바늘에 찔렸는데요.. 놀라서 피 좀 빼내고 알콜로 닦고 몇시간후에도 찜찜해서 베타딘으로 소독하긴 했습니다. 여러가지로 안좋은 환자라.. 검사를 받아보는게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틉니다 얼마 후에 병원가야 정확히 알수 있을까요? C형간염, 에이즈, 등등... 검사를 해야할까요? 너무 걱정되서 글을 올립니다.
주사바늘에 찔린 후 조치는 근무하시는 병원과 먼저 상의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우선 환자의 감염상태가 중요하겠습니다. 환자가 B형간염, C형간염, HIV 감염 등 혈액매개 감염 질환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환자가 감염질환이 없는 상태라면 크게 걱정할 필요가 없겠습니다.
환자가 전염질환에 대한 검사가 되어 있지 않은 상태라면 환자도 검사를 하고 본인도 검사를 해서 현재 상태를 파악해야하고 환자의 검사 결과에 따라 1달, 3달, 6달 후에 감염 여부를 확인해 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환자가 가지고 있는 감염 질환에 따라 응급조치는 달라지게 되니 근무하고 계신 병원 감염관리실 또는 QI실과 상의하셔서 적절한 조치를 받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