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하이닥 상담의사 정형외과 이담선입니다.
사진상 보이는 부위는 쇄골과 견갑골사이의 관절입니다.
우리몸에서 어깨죽지라 불리는 견갑골은 팔과 연결되어 관절을 이루지만,
이 견갑골은 또 쇄골에 의해서 몸에 부착되게 됩니다.
따라서 상지를 많이 사용하는 경우, 특히 벤치프레스나 푸쉬업등의 운동을 하면
견쇄관절에 무리가 올 수 있습니다.
일정한 강도로 점진적으로 운동을 하면 어깨주변의 근육의 힘에 의해서
이 부위 관절에 과부하가 덜걸리므로, 큰 문제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과도하게 운동을 하는 경우에는 관절자체에 무리가 와서 관절염증상을 나타내게 됩니다.
무릎관절처럼 체중을 직접적으로 받지는 않지만, 일을 많이 하는 경우, 특히 상체를 사용하는 일을 하거나
위에 기술한것 처럼 운동을 너무 심하게 하는 경우에는 관절에 무리가 와서 관절염이 종종 오게 됩니다.
체중을 받는 관절을 하지 않기 때문에 쉬게 되면 일상생활에 지장이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약물치료하면서 물리치료 병행하고, 관절을 쉬어 준다면, 관절염에 의한 통증은 완화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관절이 무리가 되는 운동시에는 다시 증상이 재발할 수 있습니다.
관절염의 증상은 상담자처럼 걸리는 느낌과 통증, 관절주변뼈의 돌출이 발생하게 됩니다.
약물치료와 휴식에도 증상의 호전이 없는 경우에만 선별적으로 수술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부위는 비수술적 치료에도 많이 호전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어깨를 사용하는 작업을 줄이고, 약물치료 먼저 시행해 볼것을 권해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