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닥

상담 목록

Question 성인 남성 한쪽 유두에 멍울 증상, 유방암 검진
안녕하세요 20대 후반 남성입니다.
2주전부터 오른쪽 유두 아래에서 1.5cm정도 되는 뭔가가 만져졌습니다.
그 당시에는 손이 스치는데 아파서 알게 되었습니다...눌러도 아프고요
지금은 그나마 아픈게 많이 괜찮아졌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왼쪽 유두를 만질때는 아무렇지 않은데 오른쪽 유두주변을 만질때는 약간 아픈감이 있습니다.
그래도 좀 불안해서 사는 곳 주변 외과를 2군데 다녀왔습니다.


첫번째 외과에서는 제 가슴 상태를 육안으로 살펴보고
뭔가 만져진다는 부분을 손으로 몇번 만져본다음에
이건 여성호르몬이 일시적으로 더 나와서 생기는 여유증이다.
스트레스를 받았거나, 약을 잘못 먹었거나 할경우 생길수 있다.
근데 의사분이 보기에는 시간이 좀 지나면 자연스럽게 사라질 것 같다.
그러니 따로 약 처방을 해주지 않겠다. 걱정 말아라. 이렇게 말씀을 해주셨습니다.
다만 이게 크기가 계속 커진다면(그냥 느낌상으로 말고, 자신이 만져봤을때 확연하게)
다시 병원으로 와달라라고 하셨습니다.




근데 뭔가 초음파 검사도 안해보고 그런것이 좀 찜찜해서
두번째 외과를 찾아갔습니다.
그곳에서도 역시 육안으로 양쪽 가슴상태를 보고, 손으로 그 부분을 만져봤습니다.
그후 초음파 검사를 해보자고 하셔서, 초음파 검사를 했습니다.
초음파 검사할때 유두주변을 보니까 그 기계로 누르면서 검사를 하자나요?
그때도 조금 아팠습니다...
두번째 병원에서도 마찬가지로 남자도 여성 호르몬이 나오는데, 이것이 일시적으로 균형이
깨지면서 이런 유방조직이 형성이 된다고 하시면서
초음파상으로 약간의 유방조직이 형성 되는 것 같고, 약간의 염증도 보인다고 하셨습니다.
그래서 오늘 항생제 주사와 남성 호르몬제 주사 맞고 가고
약도 비슷한것을 처방해주니 5일간 먹으라고 했습니다.
그러다가 주사 맞으러 나가기 전에 의사분께
여유증은 보통 양쪽에 같이 난다고 하는데 저는 한쪽에만 나타나는데 이럴수도 있나요? 라고 물으니
여유증은 양쪽에서도, 한쪽에서도 나타날수 있다고 하셨습니다.


그래서 다시
남자도 유방암에 걸릴 수 있다고 하는데, 특히나 그 증상이 한쪽에만 나타나고 뭔가가 잡히는거라고
인터넷에서 봤다고...그러면 저는 그런 유방암 증상과는 관련이 없는건가요? 라고 물으니


처치가 다 끝난후에도 뭔가 잡혀지는 것이 계속 커지면 (계속 유지가 되면이라고도 하셨던것 같기도..)
그때는 조직검사를 해봐야 한다고 하시네요....



그 말을 듣고 지금도 굉장히 혼란스러워서요....
그렇다면 제가 지금 유방암일수도 있다는 소리인건가요?
계속 걱정이 되서 다음주에 큰 병원에 가서 다시 검사를 받아볼까 생각중입니다....


한편으로 드는 생각은 초음파 검사를 하면 대부분의 유방암은 판별 가능하고
아주 조금이라도 이상 증세가 발견이되어서
조직검사가 필요한 경우면 의사가 먼져 권유한다고 알고 있거든요...

게다가 외과 전문의 한분의 소견이 아닌
두분의 소견이 여유증으로 일치하는 상황에서
제가 따로 여쭤본 유방암에 관련된 답변을 해주신것때문에 걱정을 하고 있습니다.
당장 다음주라도 빨리 예약을해서 검사를 받아봐야할까요?
그저께부터 아주 잠도 안오고 별의 별 생각이 다 들면서 정신적으로 스트레스를 받고 있습니다...
이러다 없던 병까지 생길 것 같네요....ㅠㅠ

답변 부탁드릴게요...


answer Re : 성인 남성 한쪽 유두에 멍울 증상, 유방암 검진
홍재웅
홍재웅 전문의 플라워여성외과의원 하이닥 스코어: 21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안녕하세요, 하이닥 외과 상담의 홍재웅 입니다.

여성형유방증 (Gynecomastia) 진단받고 이런저런 걱정이 많으시나 봅니다.

답변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여성형유방증은 말씀 들으신대로 호르몬 불균형, 특정 약물, 간질환,
내분비 종양 등으로 인한 경우 등 원인은 다양합니다.

진단은 신체 검사와 함께 유방촬영, 유방초음파 및 혈액 검사(호르몬 검사 포함),
소변 검사, 흉부 사진 등을 시행을 하게 됩니다.

유방 촬영과 유방 초음파로 유선조직의 유무를 확인하구요, 혈액 검사 소변 검사 및
흉부 사진은 다른 전신적인 질환이 없음을 확인하여 주는 검사입니다.

영상 소견으로 확인된 유선 조직과 함께 다른 검사에서 특별한 소견이 없다면
특발성 여유증으로 치료를 받으시면 됩니다.

치료는 약물 치료로 유방암 치료제로 쓰이는 항에스트로겐 제제인 타목*펜을
경구 투여 하는데요, 실제로 유선조직이 많이 사라지지는 않습니다.

이는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 (고령, 전신질환이 있는 경우 등등)에 사용해 볼 수 있지만
치료적인 효과는 크지 않은 것 같습니다.

가장 흔하게 유두하 유선조직을 수술로 제거해 주는 방법이 있습니다.
가장 확실한 치료 방법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유선 조직을 제거하고 지방흡입으로 주변을 잘 다듬어 주는 수술을 통해
원래 정상 가슴을 되찾을 수 있습니다.

유선 조직을 제거하는 방법은 유륜하 절개로 없애기 때문에 흉터는 거의 안남게 되구요,
지방 흡입은 겨드랑이 부위에 2mm 크기의 작은 절개창으로 시행하기에
이 역시 거의 흉터는 남지 않게 됩니다.

유방암에 대해서도 걱정이 많으신 것 같네요.
유방암이 의심이 되었다면, 방문 하셨던 병원에서 즉시 조직 검사를 시행하였을 것입니다.

너무 걱정은 마시구요, 치료 잘 받으시기 바랍니다.

아마도 큰병원(대학병원) 에서도 다른 두 병원에서 시행 받았던 똑같은 검사를 반복해서
시행받게 되실 것입니다.

답변이 되었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