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닥

상담 목록

Question 임파선, 신체검사
제가 고등학교 입학 건강검진을 받을 때 목에 임파선이 부어있다고 하셨는데(4~5개정도 저 기준으로 왼쪽 목에, 건강검진 당시에 혈액검사도 하였는데 아무 이상 없었음)

그 후로 알아서 났겠지 했는데 현재 1년후인 지금 까지 낮지않아 유성 선병원(꽤 큰 병원입니다.) 이비인 후과를 방문했습니다. (물렁물렁하고 유동성이 있습니다.)

그곳에서 x-ray(가슴부분)와 초음파 검사(목부분 멍울 있는 곳과 갑성선등등을 보심)를 했는데 의사선 생님께서 크기는 1.1~3cm 정도 되는 것 같고 모양이 좋아 평범한 임파선염인 것 같다고 하십니다.

만약 약을 2주정도 먹고 낮지 않으면 조직검사를 하셨습니다. + 진단을 받으면서 제가 감기기운 도 걸려서 감기약도 같이 지어달라고 했습니다. 그래서 임파선 약 3알에 감기알 2알 지어 주셨습니다. 감기약은 5일치고 임파선약은 2주치 입니다.




질문 1. 현재 약을 복용한지 1주일 되가는 데 목의 임파선이 가라앉지 않는 것 같습니다.(현재 감기도 떨어지지 않음) 약의 효능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보통 얼마후에 효능을 보게 되나요?




질문 2. 임파선이 부은지 1년이 더 되었는데 혹시 종양 같을게 아닐까요? (의사선생님께서는 1년도 가는 경우가 있기는 하다고 하셨는데 너무 두렵네요)




질문 3. 제가 삼성전자 마이스터 장학생 선발 최종 면접까지 합격 하였는데 앞으로 1달안에 신체검사도 할텐데 혹시 불합격 사유가 될까요?




질문 3-1. 신체검사는 당연히 피 검사도 할텐데 약을 복용중이라면 문제가 될까요? 문제가 된다면 언제 부터 끊어야 하죠?




질문 4. 인터넷을 검색하다 보니 임파선염이라도 눌렀을때 아프지 않다면 모두다 결핵균 때문 이라는데 사실인가요? 만약 그렇다면 어떡하죠?(이부분도 선생님께 말씀 드렸습니다.)




질문 5. 임파선이 1년째 사라지지도 않고 커지지도 않고 아프지도 않고 그냥 그런데 의사선생님의 의견을 알고 싶습니다. ㅠㅠㅠㅠ


answer Re : 임파선, 신체검사
성상엽
성상엽 전문의 연세웰이비인후과의원 하이닥 스코어: 96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1
질문자의 감사 인사 | 덕분에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덕분에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하이닥 이비인후과 상담의 성상엽 입니다.

몸에 감기나 스트레스 등의 염증이 있을 때 임파선이 커지는 경우가 가장 많습니다.
임파선은 정상적으로 목의 여러군데에 있는 것이 정상이고, 없는 것이 비정상입니다.
다만 만져지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말씀드린 것처럼 몸에 염증 소견이 있으면 일시적으로 커질 수도 있고, 개인차가 있기 때문에
다른사람보다 잘 만져지는 정상 임파선도 있습니다.

물론 걱정하시는 것처럼 악성이거나 결핵성인 경우도 있지만, 이비인후과 선생님이 초음파해보고
정상인 것 같다고 하셨다면, 그럴 가능성이 높습니다.

물론 환자가 많이 불안해하고 조직검사(세침흡인검사)를 할 수 있는 크기라면 검사를 시행하시겠지요.
거기서도 정상이라고 나오면 크기가 줄지 않는다고 너무 걱정하실 필요는 없고,
그 이후의 관리는 담당 선생님께 맡기시면 될 것 같습니다.

1. 단순 감기 때문에 부었다면 1주이내로 많이 가라앉지만, 고등학교 때 검진 때 발견한 것이라면
원래부터 크기가 큰 임파선일 가능성도 많기 때문에 감기 호전 유무와 관계없이 변화가 없을 수 있습니다.
일단 감기 증상은 좋아지는 것을 보긴해야 겠지요.

2. 말씀드린 것처럼 크기가 변화가 없다면 정상 임파선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고등학교때 발견했는데 지금까지 다른 증상이나 더 크기가 커지지 않았다면 더욱 정상일 가능성이 많습니다.
하지만 크기가 크고, 초음파 검사에서 조직검사가 필요하다면 시행하는 것이 확실한 진단이 되겠지요.
하지만 초음파상 정상이 너무 명백하다면 일단 조직검사를 보류하고 환자분처럼 몇개월 후
경과를 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3. 불합격 사유가 되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만, 정확한 것은 회사 규정을 확인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3-1. 대부분의 약은 일반 채용신체검사와 무관합니다. 하지만 특정약들은 혈액수치에 변화를
일으키는 경우도 있으니 처방받은 병원에서 상담받아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4. 눌렀을 때 아프지 않은 임파선은 정상 임파선이 가장 많고, 악성, 결핵성 임파선일 경우에도 그럴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반대로 악성, 결핵성인 경우에도 염증 반응이 있을 경우 눌렀을 때 통증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통증 유무만으로 진단할 수는 없습니다.

5. 가능한 진단에 대해서는 위에 말씀드린 내용을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