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estion
보철 관련 질문입니다.
제가 예전에 오른쪽 앞니 하나가 깨져 보철 치료를 받았습니다. 물론 브릿지나 그런거는 아니고 그냥 깨진 치아 하나에 대해서만 보철 치료를 했습니다. 그런데 보철 치료 후에 예전 자연치아와는 달리 뭔가가 불편하더군요. 계속 보철 치아 한쪽이 물리적으로 걸리고, 또한 음식 중에 면을 끊어먹을 때도 예전에 비해 안 베어물어지고, 그래서 치과에 가서 왜 그런지 여쭤보니, 교합상으로는 아무 이상이 없다고 하더라구요.
그래서 제가 곰곰히 생각해 보니, 지금의 보철 치아와 예전 제 자연치아는 모양도 조금 다르고 또한 위치한 기울기 각도라든지가 다르다는 걸 깨닫게 되었습니다.
지금 제 보철치아는 아까 말씀드린 '물리적으로 걸리는' 것이 지속되다 보니, 그 부분이 깨져버렸습니다. 그래서 저는 지금 보철을 다시할까 생각중인데, 이제는 인위적인 계산으로 만들어지는 보철치아를 믿지 못하겠습니다.
그렇기에 이번에는 완전히 자연치아랑 똑같이 할 수는 없는지를 알고 싶습니다.
이제는 3d 프린팅 기술도 발달해서 의료계에서도 접목해서 많이들 쓰고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제가 일천한 지식으로 생각해보니, 저의 깨지지 않은 왼쪽 앞니를 컴퓨터 상으로 정밀하게 스캔 하고 그것을 좌우 반전 시키면, 왼손을 좌우 반전 시키면 오른손이랑 똑같이 되듯, 제 예전 오른쪽 치아가 나올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그리고, 치아를 위치시킬 각도나 기울기는 지금 현재 끼고 있는 보철의 각도나 기울기와 크게 차이가 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쉽게 그 위치도 찾을 수 있을 것 같은데,
제가 생각한 방식처럼 완전히 예전 자연치아처럼 보철을 할 수가 있는 걸까요? 이것이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물론, 제가 고려하는 것은 치아를 구성하는 재료 같은 것들이 아닌, 세밀한 모양과 배열 위치 등을 말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