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닥

상담 목록

Question 멀미약을 먹으면 왜 멀미를 안 하는건가요~? 어떤 원리인지 궁금합니다
멀미약을 먹으면 왜 멀미를 안 하는건가요~? 어떤 원리인지 궁금합니다


answer Re : 멀미약을 먹으면 왜 멀미를 안 하는건가요~? 어떤 원리인지 궁금합니다
오영택
오영택 전문의 영이비인후과의원 하이닥 스코어: 72
전문가동의 2 | 답변추천 0
안녕하세요, 하이닥 이비인후과 상담의 오영택 입니다.

우리가 몸의 균형을 잡는 것은 여러가지 기능들이 복잡하게 작용하여 이루어집니다.
몸이 흔들리거나 회전할 때 눈을 통해 주변의 움직임을 인지하고 귀의 전정기관을 통해 가속과 회전의 느낌을 인지하고 발, 다리를 통해 주변의 흔들림을 인지하여 뇌로 신호를 보내면 이를 종합하여 우리 몸에 균형을 잡으라고 지시하게 되는데 이 신호들이 서로 일치하지 않을 때 멀미를 하게 됩니다.
특히 교통수단을 이용할 때 멀미를 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우리 몸은 교통수단의 좌석에 앉아있지만 눈이나 귀에서는 주변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때문에 이로 인해 어지러움이나 구역, 구토등을 느끼게 되는 것이죠.
사람이 걸어다니기만 하는 시대에는 멀미는 없었겠죠? 교통수단이 발달하지 않았거나 놀이동산의 재밌는 놀이기구들이 발명되지 않았다면 멀미하는 사람들은 거의 없을 지도 모르겠습니다.

특히 각 기관의 발달이 미숙한 어린이들에게서 더 심하게 나타납니다.
멀미약은 크게 부교감신경 차단제와 항히스타민제로 나뉘는데 부교감신경차단제(스코폴라민)은 눈, 귀등의 감각기관에서 뇌로 가는 신경전달물질을 차단하는 기전으로 효과를 나타냅니다. 흔히 알려진 키*테 같은 패치 제제가 이에 해당하고 보통 멀미 시작 후에는 효과가 없기때문에 출발 전 몇 시간 전에 붙이라고 합니다.

항히스타민제는 보통 알러지약으로 많이 쓰이지만 초기에 발견된 1세대 항히스타민제는 구역, 구토 증상을 완화하는 작용을 하며 약간 졸리는 부작용이 있습니다.

정리하자면 뇌로 가는 (교통수단을 탔을 때)서로 일치하지 않는 눈, 귀, 다리로 부터의 신호를 차단하는 부교감신경 차단제와 구역, 구토증상을 완화하는 항히스타민제로 나뉘고 두가지 약은 작용기전이 다릅니다. 즉, 멀미가 안생기게 하는 약과 멀미 증상을 가라앉히는 약으로 나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