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닥

상담 목록

Question 크레아티닌 수치 증가 문의
저희 남편이 10월 중순에 대학병원에서 건강검진을 받았습니다.
다른 검사는 별 다른 말이 없었고 크레아티닌 수치가 경미하게 증가되었다면서 추적 검사를 1개월 내 받으라고 써져 있었습니다
대부분 크레아티닌 수치는 1.16이였으며, 2014년에 요로결석을 걸렸을 때 제외하고는 1.16을 유지하였습니다
그러나 2016.10월 1.24가 나왔는데요. 단백뇨나 기타 내용은 음성이였고 별다른 의견이 없었습니다.

<궁금점 1>
이럴 경우도 신장에 문제가 있다는 의미인가요?
크레아티닌 수치가 1.24이면 신장관리를 지금부터 해야 할 시점인가요?? (그 전 데이타 대부분은 1.16)
* 우선 특이점으로는
1) 그 전날 8시까지 육류섭취함
2) 전날 1시 정도에 자서 7시에 일어남
3) 소변을 계속 참다가 한번도 안 누고 가서 검사함

<궁금점 2>
2014년에 신장에 요로결석이 생겨서 뺐는데요 이번 초음파에서는 특이점을 보지 못했고 단백뇨가 없다면 요로결석은 제거됐다고 봐야 하나요? // ( 그 당시 빠져서 병원 갔는데 혹시 덜 빠진 게 있지 않을까 생각도 들어서 ㅠ ㅠ)
요로결석에 걸린 자체만으로 신장이 나빠질 수 있나요? / 한간에 들리는 말에 의하면 조영술도 신장에 무리를 줄 수 있다고 하는데 그건 맞는 말인가요? <조영술 했음>

<궁금점 3>
신장이 크레아티닌 수치와 연관이 있다고 들었는데
재검으로 1.16이 나오더라도 높은 수치이기 때문에 꾸준한 관리가 필요하나요?


* 질문에 답변해 주신다면 너무 감사할 거 같습니다. 그리고 복 받으실 거예요~

저희 남편은 3아이의 아빠고 42살입니다. (막내는 3살이예요 ㅠㅠ)
정말 건강하게 오래오래 살아야 하는데 건강검진 결과가 이렇게 나와서 남편에게는 별 다른 말 못하고
식단관리 수분섭취, 걷기 운동, 휴식만 잘 하라고 했는데 전 하루종일 크레아티닌 수치만 검색하고 있습니다.

* 전문가가 아닌 사람들은 어떤 답변에서는 괜찮다 어떤 답변에서는 아니다 이런 식으로 하니 더 불안해지네요
(전문가님이 도움 주신다면 정말 큰 도움 될 거 같습니다.)

현재 남편이 해외출장으로 1달 후 귀국 예정인데~~ 너무 답답해서 글 올립니다.


answer Re : 크레아티닌 수치 증가 문의
손태용
손태용 전문의 손태용내과의원 하이닥 스코어: 381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질문자의 감사 인사 | 선생님! 정말 눈물날 만큼 고맙습니다. 진심으로 선생님의 앞날이 행복하길 기원하겠습니다^^

선생님! 정말 눈물날 만큼 고맙습니다. 진심으로 선생님의 앞날이 행복하길 기원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하이닥 신장내과 상담의 손태용 입니다.

요로결석은 초음파상과 소변검사상 이상이 없으면 완치된 것으로 생각됩니다. 결석은 대개 칼슘이나 요산 등의 대상이상으로 생기므로 재발할 수는 있습니다. 정기검사로 충분합니다.

크레아티닌 수치 1.2는 검사기관에 따라 다른데(기계마다 정상수치가 다릅니다.) 높은 정상범위로 생각됩니다.
사구체여과율이 아마도 65~70 정도로 예상되고 이 경우에는 특별히 걱정하거나 새로운 치료를 할 필요는 없습니다.
단, 신장이 나빠질 가능성이 있는 무분별한 진통제, 감기약, 짠 음식 등을 삼가하는 게 관리의 중요한 것들입니다. 단백질은 굳이 제한할 필요는 없는 단계입니다.

신장조영술은 검사 당시에 신장에 무리를 줄 수 있습니다. 다음에 검사할 때 검사실에 알려주면 약을 조절하든지, 검사방법을 변경하게 됩니다.
단백뇨가 나오거나 크레아티닌이 증가하면 신장조직검사를 하게 되는데 이 경우는 매우 드뭅니다.

이런 경우 평생동안 신장투석으로 가는 경우도 극히 드뭅니다. 그러니 걱정하면서 지내지 마시고 정기검사를 하시면서 평소와 같은 생활을 하는 것이 심리적으로도 이득입니다.

감사합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