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하이닥 비뇨기과 상담의 이영진 입니다.
예, 페이로니씨병은 질문에 있는 내용처럼 치료방법이 없다고 하는 병원이 있을 정도로 어려운 치료입니다.
음경이 단순하게 휘기만 하는 경우에는 음경의 이상만곡증이라 하고, 딱딱하게 만져지는 경결이 있을 때 페이로니씨병이라고 합니다. 단순히 휘는 것은 심각하게 걱정할 문제가 아닙니다. 이 병이 강조되는 이유는 그것이 발기부전의 중요한 원인 중 하나이고, 발기유발제를 몇 년 사용하다보면 이처럼 음경이 휘는 증상으로 걱정하는 사람이 많기 때문입니다.
발기된 음경에 어떤 충격이 가해지면 음경해면체 백막(tunica albuginea)의 두 층이 분열됩니다. 현미경으로 아주 미세하게 보이는 이런 음경 혈관의 작은 충격은 흡수가 되어야만 하는 아주 조그마한 혈종이 형성되고 여기에 따르는 염증반응이 때로 지나쳐서 음경의 섬유화가 생기거나 딱딱하게 칼슘화합니다. 그래서 음경이 휘게 되는 것인데, 폐이로니씨병은 음경의 충격이나 상처가 없이 유전적인 경향이나 노화현상, 자가면역질환의 기전으로도 올 수가 있습니다.
정석대로 진행된다면 통증이 있다가 음경해면체에서 조그마한 물체가 만져지고 음경이 휘면서 발기력이 떨어지게 됩니다. 10년 정도 장기적으로 관찰했을 때, 40%정도는 음경이 휘는 현상이 계속되고 30%정도는 호전된다고 합니다.
비타민E, 콜히친, 타목시펜, 병소부위에 스테로이드 등을 주사하기도 하지만 최소 6개월간의 장기간의 치료가 필요합니다. 치료효과는 통상 30-40%정도입니다.
주기적인 마사지와 성관계를 자주 가지시는 것이 좋습니다.
수술은 12개월 이상 안정화 상태에 있고, 통증이 거의 없어진 상태에서 30도 이상 휘어져서 정상적인 삽입이 불가능할 때 실시합니다.
치료여부에 대해서는 비뇨기과 전문병원이나 대학병원급 비뇨기과에 직접 문의하셔야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