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하이닥 혈액종양내과 상담의 박현민 입니다.
우선 이 질환은 제가 전문으로 보는 질환이 아님을 밝혀드립니다.
항응고 작용을 하기 때문에 부족시에는 혈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바로 심부정맥 혈전증이나 폐 혈전증같은 것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3%의 인구에서 발생되고 있는 드물지 않은 이상이고, 상염색체 우성이라서 부모의 어느 한쪽만 유전자가 있어도 유전이 됩니다. 하지만, 부모중 한쪽으로 부터만 유전이 되면 경증으로 머물고, 양 부모에게서 모두 유전되면 중등도 이상의 혈전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항응고제의 복용, 간질환, 신증후군, 임신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혈전증이 발생할 수 있다고 하여 미리 혈전증 예방약을 복용하지는 않고, 혈전증이 발행하면은 6~12월의 장기간의 치료약을 복용하셔야 합니다.
자세한 것은 대학병원의 혈액내과 주치의 선생님과 상의하실 필요가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