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닥

상담 목록

Question 48세, 남, 183cm에 76kg입니다.경계성 고혈 ...
48세, 남, 183cm에 76kg입니다.
경계성 고혈압때문에 신경이 쓰여서 문의드립니다.
몇년전부터 혈압이 130에서 140사이를 왔다갔다합니다. 이완기는 8,90정도되고요.
맥박은 일분에 50정도로 서맥이 있습니다.
혈압과 서맥간에 상관관계는 없는지요?
그리고 일반적인 혈압 환자가 가지는 요인이 없는데도 혈압이 조금 높게 나오네요.
운동은 많이 하는 편입니다. 좀 좀 과할정도로..일 주일에 거의 매일 2,3시간 배드민턴 치기도합니다.
허리사이즈도 정상입니다.
현재 콜레스트롤이 경계치정도의 수치를 보입니다
Ldl도 경계치...
먹는것도 그리 짜게 먹는것도 아닙니다. 육식도 그리 즐기지 않고... 알고 있는 상식선에서 고 콜레스트롤 음식도 피하고 있습니다.
흡연은 하루에 5개비 정도하고요. 음주는 거의 안합니다. 금연을 길게 해봤는데 그때도 혈압은 변화없었습니다. 스트레스도 많이 받는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단지 발모제 를 처방 받아 계속 먹고 있습니다.

혈압약은 먹지 않고 있는데요.


answer Re : 48세, 남, 183cm에 76kg입니다.경계성 고혈 ...
정세진
정세진 전문의 연세마두병원 하이닥 스코어: 215
전문가동의 1 | 답변추천 0
안녕하세요, 하이닥 류마티스내과 상담의 정세진 입니다.

1. 혈압과 서맥의 상관관계는 크게 없다고 보셔도 됩니다.

2. 고혈압은 140/90이상일 경우로 정의를 하고 혈압약을 드시고 140/90이하로 유지를 하는 것을 목표로합니다. 따라서 현재는 약을 반드시 드셔야 하는 상태는 아닌 것으로 보이며, 현재대로 생활습관을 유지하면서 경과 관찰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담배는 끊는 것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answer Re : 48세, 남, 183cm에 76kg입니다.경계성 고혈 ...
박은경
박은경 운동전문가 (주)메디플러스솔루션 하이닥 스코어: 62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안녕하세요, 하이닥 운동상담사 박은경 입니다.

혈압은 약물을 먹는 기준이 수축기 혈압이 160 또는 이완기 혈압이 100mmHg에 해당이 되며, 현재는 경계성 고혈압에 해당이 되기 때문에 식이요법과 운동요법이 필요합니다. 식이조절은 너무 잘하고 계시지만 고혈압과 고콜레스테롤 혈증에 대한 식이요법은 전문 영양사에게 다시 한번 문의해 주시고, 운동요법으로 규칙적으로 심장이 뛸 수 있게끔 도와주어 혈관의 탄성을 개선시키는 지속적인 운동방법이 요망됩니다. 예를 들어, 평지 속보로 걷기나 근육에 힘을 주게 되는 근력운동이 더욱 요망됩니다.

스트레칭 방법
1) 전신뻗기 2) 한쪽 허벅지 가슴으로 당기기 3) 양손으로 한쪽 다리 종아리를 잡고 가슴으로 당기기 4) 한쪽 다리를 들어 반대쪽으로 넘겨 허리 비틀기 5) 옆으로 누워서 무릎 옆구리로 당기기 6) 양발 붙이고 허리 숙이기 등이 있습니다. 한 가지 동작을 15-20초 이상 유지하시고, 3-5세트 반복하십시오.

유산소 운동
걷기-조깅 프로그램
(10분 걷기-3분 조깅-10분 걷기-3분 조깅-10분 걷기)

근력운동
1) 반만 윗몸일으키기 - 30회 3세트
2) 반만 대각선으로 윗몸 일으키기 -20회 2세트
3) 팔굽혀펴기 - 10-15회 3세트
4) 런지 - 20초 3세트
5) 스쿼트 - 20회 3세트

제 답변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answer Re : 48세, 남, 183cm에 76kg입니다.경계성 고혈 ...
김연선
김연선 영양사 메디플러스 솔루션 하이닥 스코어: 9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안녕하세요, 하이닥 영양상담사 김연선 입니다.

질문자님의 신장에 맞는 표준체중은 74kg 이며 표준체중의 백분율(Percentage of Ideal Body Weight)로 나타내면 103%으로, 정상체중(기준: 90~110%)에 속하므로 현재 체중을 유지해 주시기 바랍니다.
일반적으로 고혈압을 진단할 경우 수축기 혈압 140 이상, 이완기 혈압 90이상일 때를 말하며, 정상범위와 고혈압 진단 기준 사이의 혈압은, '고혈압 전단계' 라고 말합니다.
언급하신 혈압은 고혈압 전단계에서 고혈압 단계에 속하며, 고혈압의 조절 시 약물을 제외하였을 때 가장 기본적이며 일상적으로 관리해야하는 것중의 하나가 식이조절과 생활습관의 변경 입니다.

혈압조절과 관련하여 생활습관 및 식이요법을 정리해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1. 비만일 경우 체중감량을 통해 체지방량을 줄입니다. - 매일 30분 정도의 유산소 운동 권장
: 비만할 경우, 혈관 내 축적된 지방으로 인해 혈관이 좁아져 혈류가 흐를 시 압이 높아지면서 고혈압을 유발하게 됩니다. 따라서, 비만할 경우 체지방 감량을 위한 유산소 운동이 필요합니다.
2. 염분 섭취를 줄입니다. (소금섭취 기준 하루 5g(티스푼 1숟가락 정도) 미만)
: 염분 섭취량이 많을 경우 혈액 역시 염분농도가 높아지면서 혈액으로 많은 수분을 끌어들이며 농도를 낮추려 합니다. 이로인해 혈류랑이 증가하여 혈관 내 혈액이 흐르는 속도가 높아지게 되는게, 이것이 혈압이 상승하는 것이라고 보면 됩니다. 따라서 싱겁게 섭취하는 것이 혈압을 낮추는 방법이 되겠지요.
3. 절주
: 과도한 음주는 체내 많은 중성지방을 축적하게 되므로 금주하도록 합니다.
4. DASH diet의 실천 : 미국 심장협회에서 고혈압 환자들을 위해 제시한 식이요법으로 채소, 과일은 많이 섭취하되 지방의 섭취는 되도록 줄일것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 과일과 채소는 하루 4~5회
- 풍부한 식이섬유 섭취(백미 대신 잡곡밥으로 섭취 권장)
- 어육류 섭취 시 저지방부위(닭가슴살, 사태살 부위 등)로 섭취
- 유제품 섭취 시 저지방 제품으로 섭취
- 포화지방, 콜레스테롤, 소금 섭취는 제한하되 지방류는 오메가3 (등푸른 생선, 연어, 견과류 등)로 섭취

위에 언급해드린 식이요법과 생활습관 꾸준히 병행하시면 충분히 혈압을 낮추는데 도움이 되실 것입니다.
고혈압 환자의 25~50%에서 부정맥이 발생하며, 부정맥이란 심장이 정상속도와 규칙성을 잃고 빠르거나 느르게, 또는 불규칙하게 뛰는 병으로 흔한 현상이지만 심할경우 졸도하기도 합니다.
실제로 놀라거나 운동할때 등 힘든 상황에선 맥박이 빨라지게 되는데 병적인 부정맥은 상황이나 심리상태와 무관하게 발생하므로 서맥이 지속될 경우 정확한 진단을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