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닥

상담 목록

Question 식단관리와 운동법인데 부족하거나 보완해야 할 부분있으면 조언부탁드립니다
나이 35세
키182 몸무게 82
당뇨기간7년
현재 당뇨약 미복용중
공복혈당110-133
식사 후2시간혈당 평균130-155
저녁 운동 후 취침전 혈당 평균85-125
숙면시간 12시부터6시30분
식단
7시 여주즙, 생수한잔
7시30분까지 코어운동(버피테스트,마운틴 클라이머)
8시 아침식사
저지방우유300+마가루, 바나나1-2개,아몬드5개

1시 점심식사
두부한모, 낫또50그람, 김치,양파, 기타 채소류, 아몬드10개

간식 아메리카노300, 그릭요거트95그람, 방울토마토7-10개

5시 저녁식사1
현미밥반공기+자유식(고기는 뒷다리살,사태살위주)

7시 저녁식사2
현미밥반공기+자유식

8시 저녁운동
공원 약 5키로걷기 60분소요 평균속도 5키로
걷기이후 오피스텔계단오르기10층씩 구간 3회반복
내려오는건 엘리베이터 이용
팔굽혀펴기 및 아령운동30분

특이사항
튀김,밀가루는 거의금지
음료수는 절대금지
술은 정말 어쩔수 없을때..1년 6회미만

제가지금 하고있는 식단관리와 운동법인데 부족하거나 보완해야 할 부분있으면 조언부탁드립니다. 당뇨약을 복용해야하는지도 궁금합니다.

그리고 운동후 잠깐 앉아서 휴식을 취하다가 움직이면 발목이아파서 발을 내딛기가 불편한 증상이있으며
쉬거나 앉아있거나 밤에 잘때 종아리부터 발까지 저림 및 통증이있습니다. 걷거나 운동하면 통증은 사라지고 다시또 눕거나 쉬면 통증이 곧 옵니다. 왜 그런걸까요?

하지정맥검사를 받았는데 정맥은 이상없다는 결과를 받았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answer Re : 나이 35세키182 몸무게 82당뇨기간7년현재 당 ...
최동기
최동기 한의사 천호경희한의원 하이닥 스코어: 208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안녕하세요, 하이닥 한방과 상담의 최동기 입니다.

운동이나 식단관리는 양호하다고 생각합니다.

당뇨수치만으로 볼 때는 약간 높은 경향이 있지만, 전체적인 컨디션이 나쁘지 않다면 현재 하고 계시는 식이요법과 운동요법으로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의사마다 개인차가 있으니, 이 부분은 제 생각임을 밝힘니다).

운동할 때보다 쉬고 나서 다시 움직일때 아프다는 것은, 운동후 휴식이 충분하지 않아 굳었던 근육이나 대사가 원활하지 않아서 발생하는 것 같습니다.

운동 후에 충분한 스트레칭과 마무리운동을 해주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당뇨에 필요한 식이와 운동은 사람마다 차이가 있어서 말씀을 따로 드리지 않겠습니다. 다만, 음식의 종류를 지나치게 한정한다거나 음식섭취에 대한 스트레스가 있을 정도로 제약하는 것은 오히려 좋지 않을 수 있습니다. 상식적으로 피해야 할 음식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편안하게 식단을 구성하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answer Re : 나이 35세키182 몸무게 82당뇨기간7년현재 당 ...
박예리
박예리 영양사 -(프리랜서로 근무중) 하이닥 스코어: 11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안녕하세요, 하이닥 영양상담사 박예리 입니다.

당뇨병은 당뇨병성 신경병증 또는 당뇨병성 신증, 망막병증, 혈관계 질환 등의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식단 관리가 필수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당뇨병의 식사는 정상 혈당을 유지하고 표중 체중유지와 정상혈압, 정상 혈청 지질 수준을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두고 특정 당뇨보조식품에 의존하기 보다는 일상 식이내에서 조절을 권장합니다.



먼저 혈당지수(glycemic index; GI)는 순수 포도당을 100이라고 하였을 때 섭취한 식품의 혈당 상승 정도와 인슐린 반응을 유도하는 정도를 비교하여 수치로 표현한 지수로 높은 혈당지수의 식품은 낮은 혈당지수의 식품보다 혈당을 빨리 상승 시킵니다. 대표적인 고혈당지수 식품(70이상)은 감자, 떡, 백미, 수박, 호박 등이 있고 저 혈당지수 식품(55이하)은 고구마, 오트밀, 우유, 사과, 채소 등이 해당합니다.



또한 당뇨환자의 식사시 고려할 사항은 아래와 같습니다.

1. 튀김이나 단 음식, 가공식품은 일반적으로 혈당지수가 높으므로 제한하고 가급적 자연 식품을 섭취한다.

2. 같은 식품이라도 날것으로 먹는 것이 좋으며 조리하거나 으깬 것은 혈당 지수가 높아진다.

3. 생과일주스보다는 생과일을 먹는다.

4. 설탕보다는 과일의 당분을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 해조류는 혈당지수와 열량이 매우 낮아 체중감량이 필요한 경우 도움이 된다.

6. 혈당지수가 높은 식품은 되도록 제한하는 것이 좋지만 먹게 된다면 식후 바로 먹기 보다는 3~4시간 정도 지난 후 혈당치가 떨어진 후에 따로 먹는 것이 적당하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answer Re : 식단관리와 운동법인데 부족하거나 보완해야 할 부분있으면 조언부탁드립니다
김윤정
김윤정 운동전문가 엠서클 하이닥 스코어: 13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안녕하세요, 하이닥 운동상담사 김윤정 입니다.

오랫동안 당뇨로 힘드셨겠습니다.당뇨병 환자의 운동관리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당뇨병 환자는 중강도의 운동(빠르게 걷기, 계단 오르기, 자전거 타기, 조깅, 줄넘기)하는 것이 좋은데, 식사 후 30분에서 1시간 사이가 가장 적당합니다.

단, 운동 중에는 포도당이 근육으로 들어가 이용되어 저혈당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저혈당을 피하는 방법을 숙지하여 운동 중 저혈당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공복 또는 식전 운동은 피해주세요.

당뇨병은 합병증이 더 무서운 것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당뇨의 합병증은 혈당이 갑자기 올라가거나 내려가서 정상 농도 범위를 벗어났을 때 생기는 ‘급성 합병증’과 대혈관, 소혈관 합병증 등 신경에 영향을 미쳐 생기는 ‘만성 합병증’이 있습니다. 당뇨병 초기에 관리를 잘하면 일상생활에 큰 지장 없이 살아갈 수 있지만 만성 합병증이 발병되면 삶의 질이 현저히 떨어지고, 사망률도 높아집니다.

대표적인 당뇨병의 합병증은 중풍과 심근경색증과 같은 대혈관 합병증, 눈혈관 합병증, 콩팥 합병증 등의 소혈관 합볍증 등이 있습니다. 당뇨병의 합병증은 이처럼 신체 곳곳에서 생길 수 있고, 심각한 후유증을 초래할 수 있는 만큼 합병증 예방을 위해 각별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감사합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