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닥

상담 목록

Question 올해 30살된 여성입니다키는 175 몸무게는 80키 ...
올해 30살된 여성입니다
키는 175 몸무게는 80키로 후반대로 나가요

2년전 부터 20키로 가까이 살이쪘어요
거의 주5회가량 매일같이 저녁에 술과 야식을
달고살았더니 살도많이찌고 이상없던 몸에
하나둘씩 증상이 나타나고있습니다

작년가을에 블랙디스크로 진단받고 운동하고 살빼라고
이야기 들었는데 허리아프단핑게로 게을러졌어요

몇일전 회사건강검진때 공복혈당이 115가 나와
당화혈색소 검사를해보니 6.3이라고
관리안하면 큰일난다고 해서
운동과식이 병행중입니다

사오일 전부터 입이마르고 소변이 자주 나오는데
당뇨증상이 맞죠

인터넷 찾아보니 증상이 나타날 정도면 췌장 기능이 50프로도 안남고 다른장기도 많이 망가졌을거라고 하던데...

살빼고 식이조절 운동 꾸준히하면 저 다뇨다갈증상이 호전될수있나요...,

신혼이라 임신준비도해야하는데

산모가 당이있으면 거대아 장애아 또는 사산일 가능성이 크다고해서 너무걱정이에요... 요며칠 밤잠 설치며 지푸라기라도 잡는심정으로 질문드려요

당화혈색소 낮추고 금주 식이조절 운동 꾸준한관리하면 희망이있을까요...우울합니다....


answer Re : 올해 30살된 여성입니다키는 175 몸무게는 80키 ...
이완구
이완구 전문의 맑은샘내과의원 하이닥 스코어: 278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안녕하세요, 하이닥 내분비내과 상담의 이완구 입니다.

질문자의 경우는 비만에 의한 당뇨 전단계의 상태인데, 당뇨쪽에 가까운 전단계의 상태이군요. 이런 경우 정밀검사를 하면 당뇨가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당뇨는 공복혈당, 식후혈당, 당화혈색소 등 세 가지 수치로 진단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질문자의 경우 공복혈당, 당화혈색소는 측정되었지만 식후혈당을 보는 정밀 검사인 경구 당부하검사를 받아 보실 필요가 있고, 경구 당부하검사에서 당뇨로 진단된다면 즉시 약물치료를 시작해야 합니다.

물론 체중을 감량하면서 열심히 식사조절하고 운동을 하면 당이 정상화 될 수는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열심히 운동하고 식이조절하는 것도 필요합니다. 더구나 임신을 준비하고 있다면 더욱 열심히 혈당을 조절해야만 합니다.

만일 경구 당부하 검사에서 당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면 빨리 약물치료를 시작하시길 권합니다. 메*포민(성분명: 메트포르민염산염) 같은 약은 임신시에도 사용할 수 있는 당뇨 약이기 때문에 약을 복용하면서 임신을 해도 괜찮으니 너무 염려 마시기 바랍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라며..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answer Re : 올해 30살된 여성입니다키는 175 몸무게는 80키 ...
현태선
현태선 영양사 충북대학교 하이닥 스코어: 2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안녕하세요, 하이닥 영양상담사 현태선 입니다.

체중관리를 하시면 당뇨증상도 호전되실 수 있을 것이니 너무 염려 마십시오.

가장 시급히 지키셔야 할 것은 술과 야식을 드시지 말아야 합니다. 칼로리가 높은 간식도 자제하시고 한식 위주의 식사를 하시면서 양을 조금씩 줄이시기를 권합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임산부 영양정보를 카드뉴스의 형태로 26종 제공하고 있으며 아래 페이지에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http://www.mfds.go.kr/index.do?x=18&searchkey=title:contents&mid=675&searchword=임신&y=5&division=&pageNo=1&seq=35746&sitecode=1&cmd=v

당뇨임신부, 비만 임신부를 위한 자료와 임신부의 음주자료를 첨부합니다. 참고하십시오.

메트포르민염산염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answer Re : 올해 30살된 여성입니다키는 175 몸무게는 80키 ...
최해현
최해현 하이닥 하이닥 스코어: 4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안녕하세요, 하이닥 운동상담사 최해현 입니다.

질문자님의 신체질량지수(BMI)는 약28.73으로 비만에 속합니다. 당뇨병 환자는 중강도의 운동(빠르게 걷기, 계단 오르기, 자전거 타기, 조깅, 줄넘기)하는 것이 좋은데, 식사 후 30분에서 1시간 사이가 가장 적당합니다. 단, 운동 중에는 포도당이 근육으로 들어가 이용되어 저혈당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저혈당을 피하는 방법을 숙지하여 운동 중 저혈당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공복 또는 식전 운동은 피하고 인슐린을 사용하고 있다면 인슐린 주사 60~90 이내에는 운동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당뇨병은 합병증이 더 무서운 것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당뇨의 합병증은 혈당이 갑자기 올라가거나 내려가서 정상 농도 범위를 벗어났을 때 생기는 ‘급성 합병증’과 대혈관, 소혈관 합병증 등 신경에 영향을 미쳐 생기는 ‘만성 합병증’이 있습니다. 당뇨병 초기에 관리를 잘하면 일상생활에 큰 지장 없이 살아갈 수 있지만 만성 합병증이 발병되면 삶의 질이 현저히 떨어지고, 사망률도 높아집니다.

대표적인 당뇨병의 합병증은 중풍과 심근경색증과 같은 대혈관 합병증, 눈혈관 합병증, 콩팥 합병증 등의 소혈관 합볍증 등이 있습니다. 당뇨병의 합병증은 이처럼 신체 곳곳에서 생길 수 있고, 심각한 후유증을 초래할 수 있는 만큼 합병증 예방을 위해 각별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감사합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