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하이닥 정형외과 상담의 서동현 입니다.
문의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무릎이 모호하게 아프신 경우로, 나이를 고려하면 중등도 퇴행성 연골 변화를 의심할 수 있습니다. 활동이 많거나 오후들어서 더운 불편하시다면, 반복적인 연골 손상이나 활막염증 등이 누적되어 나타나는 증상일 수 있고요.
최근 성체줄기세포 또는 자가골연골이식술 등의 관절 연골 결손의 위치, 깊이, 크기를 고려하여 슬관절 내시경으로 치료하는 수술적 방법이 있고, 유전자 주사치료(인보사) 등을 포함 히알루론산, 조직 재생 증식 치료 등 다양한 주사들이 소개되어 있습니다.
심한 안짱다리, O자형다리 변형이 있는 경우 정강이 뼈를 내측만 조금 벌려 하지 정렬 축을 정상적으로 교정하는 방법 또한 보편적입니다. 바쁘시더라도 지역 관절 전문병원이나 종합병원의 슬관절분야 담당의사의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우선 연골도움 경구약과 물리치료, 슬관절 주사 치료 등이 기본이 되오니, 상담자님의 현재 슬관절 병변이나 상태를 확인하시고 이에 따른 맞춤식 치료관련 상의를 하세요.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