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닥

상담 목록

Question 44올해 주부인대 허리프폴로주사를 4개월동안맞고잇는 ...
44올해 주부인대 허리프폴로주사를 4개월동안맞고잇는대 낳아지진안코 아직도아픔니다 병원갓다오면 3,4일은 버티는대 또아픔이지속되고 잇씁니다ㆍ병원몇군댈 다녀밧는대 디스크다 척추협착증이다 다르더군요 다른병원간다한들 프폴로담은 수술아닌가요?수술은 원하지안슴니다 나이도아직젊은대 나아지진안코 어떻하면좋을까요?증상은 허리와골반 엉덩이뒷쪽 발바닥이 아파요


answer Re : 44올해 주부인대 허리프폴로주사를 4개월동안맞고잇는 ...
배규룡
배규룡 전문의 세계로마취통증의학과의원 하이닥 스코어: 28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안녕하세요, 하이닥 마취통증의학과 상담의 배규룡 입니다.

인대강화 주사가 4개월 동안 효과가 없엇다면 앞으로도 효과가 있을 것 같지는 않습니다.

요통이 만성적으로 진행하면 중추신경감작이라는 상태로 되어 말하자면 화재도 나지 않았는데 울리는 고장난 화재 감지기 처럼 되는 만성화 된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어떤 치료를 하면 명백히 좋아질 수 있는 숨은 질환이 있는지는 앞으로도 계속 괁찰하여 찾아 보면서 수술 등의 침습적 치료는 삼가고 물리치료 약물치료 운동치료 등등 비 침습적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비 침습적 치료를 받으면서 관찰을 하면서 장기적으로 새로운 증상이 나타나는지 보고 대처하시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다행히도 척추의 통증들은 나이가 들어 퇴행성 변화가 오면 탄력성을 잃어 척추안정화가 이루어져 자연 치유되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answer Re : 44올해 주부인대 허리프폴로주사를 4개월동안맞고잇는 ...
김정현
김정현 운동전문가 쓰리먼스더바디 하이닥 스코어: 57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안녕하세요, 하이닥 운동상담사 김정현 입니다.

허리가 왜 아픈지를 알면 주사가 어떤 의미인지 알게 되실껍니다. 그 어떤 주사도 근육이 강해지게 해줄 수 없습니다. 근육이 강해지는 것은 운동 뿐입니다.

허리가 아프다는 것은 허리를 잡아고고 움직여 주는 근육에 무리가 가서 고장이 났다는 뜻입니다.

이런 상태가 지속되면 근육이 잡아주지 못하는 무게가 뼈를 누르게 되어 디스크로 발전하게 되거나, 인대를 과사용하게되면 협착증이 되는 겁니다. 디스크는 다리가 저리거나 당기는 신경증상이 나타납니다.

허리를 삐끗해서 119에 실려가는 사람 많습니다. 급성염좌라고도 하는데요 근육이 더이상 작동할 수 없을 정도로 고장이 났다는 뜻입니다.

원인을 정확하게 알아야 올바른 치료를 할 수 있습니다. 디스크가 왜 생기는지 잘 이해하는게 중요합니다. 방송에서 맨날 운동하라고 하는데는 이유가 있습니다.

먼저 원인이 되는 잘못된 생활습관부터 개선해주셔야 합니다. 아무리 치료를 받아도 원인을 고치지 않으면 소용이 없을 수 있으니까요. 허리에 무리를 주는 생활습관 1.앉아있는것 2. 구부정한자세 3.과체중 및 비만 4. 운동부족 등이 대표적 입니다.

그리고 망가진 근육을 다시 부드럽고 건강하게 만들어 주는 재활운동을 해주시면 됩니다.

건강을 위한 재활운동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스트레칭 - 근육을 부드럽게 풀어주고 짧아진 근육을 늘려주는 스트레칭을 온 몸 전신의 근육에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폼롤러나 마사지볼을 이용한 셀프마사지도 좋습니다. 이렇게 근육을 잘 풀어주면 통증이 줄어들고 몸의 회복이 빨라지며 몸이 편안해 집니다.

2. 코어활성화 – 척추가 정상적인 위치(S라인)에서  유지하는 운동으로 척추가 움직이지 않는 운동입니다. 몸의 안정성을 높여줍니다. (브릿지, 플랭크, 사이드 플랭크, 슈퍼맨, 쿼드슈퍼맨 등)

3. 걷기 및 근육강화와 밸런스 운동 - 바른 자세로 걷기를 시작할 단계입니다. 더불어 약화된 근육을 강화시키면서 밸런스를 맞춰나가는 운동을 할 시기입니다.

4. 기능성운동 - 서서 몸의 협응성을 높여주는 다양한 동작을 훈련하는 시기입니다.  (스쿼트, 데드리프트, 푸쉬업, 친업 등)
운동의 팁 : 절대 통증이 없는 낮은 강도로 시작하시고 , 오래 걸리더라도 서서히 강도를 높이셔야 합니다. 동작의 속도는 천천히 할수록 효과가 좋습니다. 혼자서 어려울 경우 건강운동관리사에게 배우는 것이 안전하고 효과적 입니다.

감사합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