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닥

상담 목록

Question 14년10월에 라섹을 하고 3년정도가 지났는데요... ...
14년10월에 라섹을 하고 3년정도가 지났는데요...
안구건조증으로 고생중입니다. 아침에 눈이 뻑뻑해서 눈을 움직이는게 고통스럽네요 ㅠㅠ
이럴 때 할 수 있는게 뭐가 있을까요? 인공눈물도 넣긴 하지만 가습기같은걸 사용하면 안 넣어도 될까요?...조언 부탁드립니다.


answer Re : 14년10월에 라섹을 하고 3년정도가 지났는데요... ...
심종우
심종우 전문의 연세제일안과의원 하이닥 스코어: 11
전문가동의 2 | 답변추천 1
안녕하세요, 하이닥 안과 상담의 심종우 입니다.

라섹 라식 수술 등의 각막 굴절 교정 수술을 받으시고 나면 안구건조증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지며, 실제로 수술 후 발생한 안구건조증 때문에 지속적인 치료를 받으시는 분이 상당수 있습니다.

최근에 수술 기법들이 발달하면서 안구건조증의 발생 확률을 조금씩 줄여나가고 있지만, 각막을 깎아내 수술을 하면서 발생하는 필연적인 각막 신경 손상은 피할 수 없으므로 안구건조증의 발생을 근본적으로 막을방법은 현재로서는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안구건조증은 시력교정 수술 외에 눈물막을 구성하는 지방·점액·수성층의 불균형, 눈물샘의 손상, 눈물 통로의 폐쇄, 미세먼지 및 건조한 날씨 등 환경적 요인, 안질환, 만성피로 등 여러 내부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에 의해 발생합니다. 최근에는 핸드폰, 태블릿 PC 등 전자기기 사용 증가와 함께 난방기 사용 등이 눈의 건조한 증상을 악화시킨다고 알려졌습니다.

아침에 눈이 뻑뻑해지는 것이 주된 불편감이라면, 자기 전 넣고 주무실 수 있는 안연고의 사용이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됩니다. 말씀하신 가습기 사용으로 주변 환경을 습하게 만들어 주면 눈물의 증발이 줄어들기 때문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건조해지기 쉬운 겨울철에는 가습기를 틀어 습도를 60% 정도로 유지하고 실내 온도를 18도로 맞추는 것이 좋습니다.

머리 염색, 헤어드라이어 사용, 스프레이, 흡연 등도 되도록 삼가는 것이 좋으며, 바람을 피하고 밖에 나가는 경우 건조를 막는 바람막이용 보호 안경을 착용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그러나 인공눈물을 사용하는 것은 안구건조증의 기본 치료입니다. 가습기를 사용하시는 것은 보조적 치료로 효과가 있으나 가습기 사용만으로 안약을 사용하지 않을 정도로 증상의 호전이 되는 경우는 흔치 않습니다.

그리고 설날 연휴 동안 먼 길을 이동할 수도 있으실 텐데요, 이때 장시간 이동의 지루함을 달래기 위해 스마트폰이나 게임기 등을 하며 시간을 보내기 쉽습니다. 흔들리는 차 안에서 장시간 작은 화면에 집중할 경우 눈의 피로가 집중돼 시력 저하는 물론 안구건조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장시간 이동 중에는 스마트폰이나 게임기 등의 사용을 삼가는 것이 좋으며 사용 시에는 화면과의 거리는 30cm 이상 유지하고 10~20분 정도 휴식을 취하거나 눈 운동, 지압을 해주는 등 집중했던 눈의 피로를 풀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현재 불편하신 부분에 대해서는 단계적인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안구건조증의 정도에 따라서도 치료 방법이 다르므로 불편하신 부분이 해결되지 않으신다면 가까운 안과에서 꼭 전문적인 상담을 받으시고 치료를 유지하시길 권유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안구건조증
안구건조증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