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닥

상담 목록

Question 족저근막염으로 4개월째 고생하고 있습니다ㅠ 그동안 거의 ...
족저근막염으로 4개월째 고생하고 있습니다ㅠ 그동안 거의 걷지도 않고 체외충격파도 5번정도 했고 침도 맞고 스트레칭 정말 열심히 했습니다. 그런데도 5분이상 걸으면 욱신욱신하고 오늘 병원 다시 가서 초음파 검사를 해봤더니 족저근막 두께가 0.39cm 랑 0.35cm라고 합니다. 이정도면 많이 심한건가요?? 앞으로도 계속 스트레칭하고 체외충격파 치료 해야할까요...? 이제 대학교도 다니고 움직일 일도 많은데 걱정입니다..ㅠㅠ 답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answer Re : 족저근막염으로 4개월째 고생하고 있습니다ㅠ 그동안 거의 ...
유호섭
유호섭 전문의 구포하나정형외과의원 하이닥 스코어: 12
전문가동의 1 | 답변추천 0
안녕하세요, 하이닥 정형외과 상담의 유호섭 입니다.

발은 수많은 뼈와 관절과 인대, 신경, 혈관이 복잡하게 조화를 이룬 섬세한 인체기관으로 몸의 체중을 지탱하는 신체 중 제일 고생을 하는 부위이기도 합니다. 질문자님의 경우 족저근막염 보존치료를 진행 중이나 증상의 호전이 없어 고민이시군요.

근막의 두께가 3.8 mm 이상인 경우 족저근막염을 의심할 수 있으며 대개 6개월 이상 보존적인 치료를 해야 서서히 회복되므로 인내심을 가지고 꾸준한 치료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보존적 치료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약물치료, 물리 치료
소염진통제는 급성기 또는 통증이 심하고 부종 있을 때 효과가 있어 보존적 치료가 가능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소염제를 오래 복용하기보다는 심한 통증 발생 시 간헐적으로 사용할 것을 권합니다. 더불어 물리치료를 병행하시기 바랍니다.

2. 체외충격파 치료
체외충격파 치료를 주 1회 정도 치료한 것이라면 상태에 따라 일주일 간격으로 3~5회 정도 실시할 수 있으니 더해보셔도 좋겠습니다.

3. 발뒤꿈치 패드와 신발
보행 시 발뒤꿈치의 충격을 완화해주고 아치를 지지해 줌으로써 족저근막의 긴장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발뒤꿈치 컵(heel cup) 등의 보조기 사용이 도움이 됩니다. 또한, 하이힐을 착용하면 체중이 앞쪽으로 쏠려 족저근막염을 악화시키며 굽이 너무 낮은 경우도 충격 흡수가 안 돼 족저근막염을 유발할 수 있어 ‘플랫슈즈’ 등도 피하는 것이 좋으며 발에 충격이 덜 할 수 있는 쿠션이 충분한 운동화를 신으시고 집에서도 쿠션이 있는 실내화를 착용하시기 바랍니다.

4. 발바닥에 무리를 주지 않도록 체중관리 및 오래 서 있는 일 등을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보존치료 후에도 경과가 좋지 않다면 다음 치료방법을 권합니다.
5. 스테로이드 주사요법
스테로이드 주사를 통해 염증을 직접 제어하는 방법은 개선에 도움이 됩니다.

6. 수술적 치료방법
적어도 6개월간의 보존적 치료를 한 후에 수술적으로 족저근막을 늘려주는 방법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병원에 방문하셔서 다시 한번 더 상담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answer Re : 족저근막염으로 4개월째 고생하고 있습니다ㅠ 그동안 거의 ...
김정현
김정현 운동전문가 쓰리먼스더바디 하이닥 스코어: 57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안녕하세요, 하이닥 운동상담사 김정현 입니다.

족저근막염의 경우 평발에게서 많이 나타납니다.
일단 생긴 상처를 아무리 잘 치료해줘도 발이 무너져 있으면 결국 소용이 없는거죠.
이런 경우 교정깔창으로 발의 아치를 높여주면 훨씬 많은 도움이 된답니다.
일단,, 체형교정 전문병원이나 센터에서 발의 구조에 문제가 있는지부터 체크해 보세요.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answer Re : 족저근막염으로 4개월째 고생하고 있습니다ㅠ 그동안 거의 ...
김태희
김태희 운동전문가 브라운크리스탈PT 하이닥 스코어: 14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안녕하세요, 하이닥 운동상담사 김태희 입니다.
족저 근막염으로 인해 고통이 많으실것입니다. 한번 발병하면 잘 낫지않고 재발도 잦아서 관리를 잘해야하는데요 하체 근력을 발달시키고 체중을 조절했을경우 많은 부분 케어가 되고 치료가 되는것을 느낄수있으실것입니다. 하체 근력을 발달 시키면 발의 부하를 허벅지 근육이 많은 부분 나눠갖을수있기때문에 부하를 줄일수있고 또한 체중을 조절하면 발에 걸리는 부담을 하루 종일 줄일수있기때문에 이 두가지는 치료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과정이 될것입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운동하느냐가 문제일것인데요 대부분많은 분들이 족저 근막염이 발병하면 무조건적으로 활동량을 줄이기에 급급한데 이떄에는 발바닥을 사용하지 않고 허벅지를 이용하는 운동들로 근육운동을 하면 굉장히 효과적으로 좋은 결과를 얻을수있습니다. 레그프레스와 스쿼트는 발바닥을 중심으로 허벅지 근육을 움직이기때문에 이런 복합 관절 운동은 족저 근막염 발생이후 오히려 운동시 통증을 가속화 할수있음으로 제외하고 이 두 근육운동들이 참여하는 근육부위운동을 고립적으로 모두 분리시켜 운동하면 매우 좋은 결과를 얻을수 있을것입니다.

족저근막염 발병시 허벅지 근육 및 허리 근육 발달 프로그램
1. 레그 익스텐션(대퇴 사두근 및 둔근/햄스트링 상부)
2. 라잉 레그컬(햄스트링하부, 관절 뒤쪽 강화)
3. 이너싸이(내전근-허벅지 안쪽)
4. 레그레이즈(대퇴직근/하복부)
5. 사이드 힙레이즈(고관절 및 힙의 측면 발달)
6. 백 힙 레그레이즈(힙의 위쪽)
7. 수퍼맨(허리/척추기립근)
8. 트위스트 (척추 회전근육 및 옆구리/외복사근)
9. 크런치(복직근 및 복부 지방제거)

절대 하리 말아야 하는운동
1. 걷기/조깅
2. 줄넘기
3. 스텝박스
4. 스피닝
5. 축구, 농구. 배구 탁구 등 발을 많이이용하는 스포츠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