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하이닥 외과 상담의 권도성 입니다.
항문은 두 층의 괄약근으로 움직입니다. 이 두 층의 괄약근이 평상시에는 항문을 조여주어 변이 새어 나오는 것을 막아주며 배변 시에는 이완되어 변을 보기 쉽게 만들어 주는데 이 같은 항문괄약근이 직장 및 항문 수술, 외상으로 인한 괄약근 손상, 염증성 장 질환, 심한 디스크, 뇌졸중,설사약이나 관장약의 남용 등을 원인으로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거나 직장의 저장능력에 이상이 있는 경우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대변이나 방귀가 나오는 것을 변실금이라 말합니다.
변실금이 적절히 치료되지 않는 경우 대변의 일부가 흘러나와 항문 주위에 묻으면서 발생하는 피부염이 항문소양증의 유발인자가 될 수 있고 신체적인 불편함을 떠나 수치심, 심리적 위축감, 우울증 등의 정신적인 문제까지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검사를 통해 정확한 원인을 찾아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검사방법으로는 항문 초음파검사, 항문 내압검사, 배변 조영술, 항문괄약근 근전도검사 등이 있으며 원인에 따라 식이요법, 골반 근육운동, 약물치료, 수술 등 다양한 치료방법을 실시할 수 있습니다.
변실금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평소의 식사습관과 운동이 중요합니다. 식이요법을 통해 섬유소가 많이 들어있는 음식 즉, 야채류, 콩류, 과일류, 해초류 등을 섭취하도록 하며 배변이 잘 안 될 경우 20분 정도 복부마사지를 해줍니다. 서 있거나 앉은 상태, 누운 상태 모두 가능하며 부드러운 수건으로 1회에 10분 정도 하루에 1~2회 정도 마사지를 합니다. 시계방향으로 처음에는 약하게 문지르다가 점점 힘을 주면서 누르면서 돌려주면 됩니다.
괄약근 단련 운동은 케겔 운동이 있습니다. 이 운동은 특별한 기구가 필요 없고 어느 곳에서나 가능하며 변실금뿐만 아니라 요실금이나 성 기능 향상에도 도움이 됩니다. 눕거나 앉아 있는 상태에서 다른 곳에는 모두 힘을 빼고 항문과 요도가 있는 부분을 조이는 운동입니다. 조일 때는 방귀나 배변을 중단시킬 만큼 힘을 줍니다. 항문 주위에 힘을 준 상태에서 10초 동안 수축한 후 10∼15초 동안 이완시키는데 15회 정도로 하루에 3~4회 정도 시행하면 됩니다. 처음부터 너무 무리하게 시작하지 않도록 하며 힘들 경우 1∼3초 동안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는 것으로 시작하여 점차 늘려가며 시행합니다.
물론 다른 질환이 겹쳐서 나올 수도 있으니 꼭 가까운 항문 외과에서 진찰받아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