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닥

상담 목록

Question 어떤운동이 저에게맞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저는올해45세되는 여자입니다 아이넷이고 자연분만둘은 30세전에낳았고에 둘은수술 40세전에 낳았어요~ 현재 갱년기는 마흔에 왔고 폐경오기전인데 병원에선 자궁도작아졌다면서 진행이빠르다고하네요 이번3월부터 호르몬제 생리안하는걸로 먹고있어요
갱년기가 일찍오다보니 여기저기 안아픈곳이 없고 순환도안되어 부종도있고현재키159.64키로 나갑니다
운동을좋이했는데 모든게 싫어지고 무겁고 무기력해져서 다시살을빼고 건강해져야는데 어떤운동이 저에게맞는지 궁금합니다


answer Re : 안녕하세요 저는올해45세되는 여자입니다 아이넷이고 자 ...
홍원기
홍원기 홍원기 하이닥 스코어: 11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안녕하세요, 하이닥 산부인과 상담의 홍원기 입니다.

호르몬제를 복용하는데도 무기력감이 지속된다면
다니는 산부인과에서 상담 후 호르몬제 교체를 문의하시고,
운동의 종류는 헬스 트레이너와 상담 하시기 바랍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answer Re : 안녕하세요 저는올해45세되는 여자입니다 아이넷이고 자 ...
안희진
안희진 영양사 쥬비스다이어트 하이닥 스코어: 5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안녕하세요, 하이닥 영양상담사 안희진 입니다.

40대 중반의 연령에 현재 갱년기 이시군요.
아무래도 여성의 경우에는 호르몬분비와 체중의 변화의 연관성이 클 수 밖에 없는데
호르몬의 원료가 지방이기 때문에
호르몬 불균형이 나타나는 시점에는 지방대사 기능이 떨어지면서 살이 찌게 되죠.
특히 40대라면 면역력이 떨어지고, 신체 활성도가 떨어지면서 대사기능이 떨어지니
예전과 똑같이 먹는 패턴이 있다면 점점 소비가 안되기 시작하게 됩니다.
하지만, 지금 이렇게 체중이 증가하고 있는 부분이 운동을 하지 않아서가 아니시죠~

즉, 질문자님께서 살이 찌게 되는 진짜 원인을 찾아 해결하는 것이 필요하며
무조건 운동을 통해 체중감량을 하려고 하는 형태가 아닌,
갱년기 시점 호르몬불균형에 대한 부분부터 개선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래야 가장 건강하고 요요없는 다이어트를 완성할 수 있으시죠.

호르몬은 충분한 영양소 섭취가 되어야 합니다.
그래서 3끼식사는 한식 기반으로 추천하며,
호르몬의 원활한 분비를 위해 몸을 따뜻하게 만들어주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평소 반신욕이나 가벼운 스트레칭을 해주시는 것도 좋습니다.
그 외적으로도 살을 찌우게 하는 식습관과 생활습관을 개선하여
근본적인 원인을 찾고 개선하는 건강한 다이어트 하시길 바랍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answer Re : 어떤운동이 저에게맞는지 궁금합니다
김윤정
김윤정 운동전문가 엠서클 하이닥 스코어: 13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안녕하세요, 하이닥 운동상담사 김윤정 입니다.

갱년기는 노화가 진행되고 있는 시기와 맞물려 근육양의 감소 및 골밀도가 급격하게 떨어지게 됩니다. 감소하는 에스트로겐 수치와 관련이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이 체중 증가는 보통 복부 지방으로 나타납니다.

그래서, 내장지방 감소를 위한 유산소 운동과 근손실 감소를 줄일 수 있는 저항운동을 병행하시는 것이 도움이 되시겠습니다.

유산소 운동으로 추천드리는 것은 수영, 걷기, 조깅, 자전거 타기 등을 추천드리며, 운동강도는 본인의 운동량은 최대 맥박수((220-본인나이)*0.5~07) 이내에서 운동하는 것으로 권해드립니다. 이것이 어렵다면, 약간 힘들다고 느껴질 정도로 일주일에 3번, 한번에 45분이 넘지 않는 선으로 운동해 보세요.

저항운동으로는 탄성벨트를 이용해서 집에서 운동 해 보시기를 권장드립니다.

그리고 운동전에는 10분정도 충분한 스트레칭 후에 하시도록 권해드립니다.

규칙적인 운동은 폐경 후 열성홍조 현상, 수면장애, 기분변화 및 근골격계 통증과 같은 폐경과 관련 된 여러 증상을 개선 시키는데 도움이 되므로 따로 시간을 내기 어려우시다면 엘레베이터 대신 계단을 이용하여 운동하는 등 생활에서 운동하는 방법을 찾아 꾸준히 실천하셔서 건강관리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