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닥

상담 목록

Question 운동과 식이요법
겨울에 살이쪄서 좀 빼려고 하는데요...
몸무게를 재니 스트레스 받아서 안재고 근력조금하고 스피닝을 타러고 합니다..
근력운동 20분정도...
매일 다른거로 하고요...
식이요법은 아침에 바나나나 사과, 점심에 고구마, 저녁에 쉐이크나 고구마..
이렇게ㅜ하려고요..

아님 운동하고 쉐이크를 먹어야 되나요???
아는 자인이 운동하고 쉐이크 먹으래서여.. 단백질 보충해야된다길래....


answer Re : 운동과 식이요법
김정현
김정현 운동전문가 쓰리먼스더바디 하이닥 스코어: 57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안녕하세요, 하이닥 운동상담사 김정현 입니다.

일반인들이 다이어트 할 경우 쉐이크를 먹을 필요가 전혀 없습니다.
단백질도 탄수화물과 똑같은 1g당 4kcal 칼로리 입니다...게다가 단백질은 소화가 잘 안되며, 더군다나 식품이 아닌 쉐이크형태는 흡수가 잘 되지도 않습니다. 그냥 식사마다 식품으로 적당히 챙겨드시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성인의 1일단백질 섭취권장량은 체중 * 0.9 g입니다. 닭고기100g 중 단백질은 20g정도 차지합니다.

현재 식사는 거의 굶다시피 하는 식단이네요. 영양밸런스도 엉망이고..건강을 망치는 식단입니다.
다이어트 후 요요가 오는 이유는 잘못된 다이어트 방법 때문에 생기는 호르몬의 변화때문입니다.
적게 먹으면 처음엔 살이 빠지겠지만, 반복될수록 몸이 거기에 적응해버리면서 나중엔 물만 먹어도 살이 찐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몸이 변하게 됩니다. 결국 요요가 올 수 밖에 없습니다.
- 갑자기 굶거나 식사량을 줄였을 때 몸이 적응하는 과정 -
1. 몸의 기능을 낮춰서 소모하는 칼로리를 줄입니다. 이때문에 면역력이 약해져 질병에 취약해 질 수 있습니다.
2. 몸 속 세포는 살아남기 위해 에너지를 더 저장하려고 지방축적호르몬의 분비를 증가시켜 전과 비교했을 때 같은 양을 먹어도 지방으로 가는 양이 늘어나게 됩니다, 결국 살이 더 잘 찌는 몸으로 변신하는 거죠.
3. 근육량이 줄어들어 기초대사량이 감소하여 결국 매일 소모하는 칼로리가 더 줄어들게 됩니다.
단백질만 먹는다고 근육이 생기는 것도 아니며 근육감소를 막아주는 것도 아닙니다. 반드시 운동을 함께 해야합니다.

그래서 많은 전문가들은 절대로 적게 먹거나 굶어서 살빼지 말라고 신신당부를 하는 겁니다.
자신의 1일권장섭취 칼로리를 반드시 3끼에 나눠서 먹고(핼스장이나 보건소에서 인바디검사 해보세요), 추가로 운동을 한 만큼만 감량하는 것이 좋습니다.
탄수화물 단백질 식이섬유가 항상 적당히 유지되는 식사를 하셔야 합니다.
천천히 오래 씹어서 15분 이상 식사를 하시고, 건강한식품으로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운동과 더불어서 평소에 자주 움직이는 생활습관을 만들어 기초대사량을 증가시켜 주세요.
이런 건강한 식습관을 장기간 유지해야 호르몬의 밸런스가 좋아질 수 있습니다.

(네이버에서 쓰리먼스더바디를 검색 블로그를 참고하세요)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answer Re : 운동과 식이요법
유혜리
유혜리 영양사 쥬비스다이어트 여의도지점 하이닥 스코어: 4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안녕하세요, 하이닥 영양상담사 유혜리 입니다.

질문자님 우선 대답은 '아니요' 입니다.


우리 몸이 살이 찌는 과정을 알고 계신가요?

단순히 많이 먹어서 살이찌는 것이 아니랍니다^^

우리가 음식을 섭취하면 탄수화물이 이 당으로 소화되며 혈당을 높이게 되는데
이 혈당을 인슐린이 세포로 전달을 해주는데 급격하게 혈당이 높아지게 되면 전부다 사용을 하지 못하고
지방으로 저장을 해서 살이 찌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혈당을 천천히 올리는 것이 살이 안찌는 식사방법입니다.

그럼 반대로 혈당을 빠르게 올리는 방법이 무엇일까요?

1. 씹지않고 넘기는 식사
-> 즉 요플레,쉐이크 등 질문자님이 드시려는 식사가 포함이됩니다.

2. 과일류
-> 과일은 당함유량이 높아 먹자마자 급격하게 혈당을 올려 조금만 먹어도 살이 찔 수 있기때문에
식사대신 과일을 먹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제대로된 식사를 해주는 것이 살을 뺄 수 있는 방법입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