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닥

상담 목록

Question 사회불안장애와 만성우울증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현재 사회불안장애와 만성우울증이 있습니다.
학교 휴학을 하고 약물치료를 하는 중인데
치료 도중에 불면증이 생겼습니다
자리에 누워 잠에 드는 건 쉬운데 새벽(1시-4시사이)에 문득 눈을 뜨면 해가 완전히 밝을 때까지도 잘 수가 없습니다
그리고 그 잘 수 없는 새벽이 너무 우울합니다

그래서 불면을 위한 약을 처방받았는데 복용 후 수면시간도 비교적 길어지고 중간에 깨긴 하지만 금방 잠에 들 수 있었습니다. 근데 악몽을 너무 심하고 생생하게 꿔서 의사선생님께서 대신 트라조돈을 처방해주셨습니다

트라조돈 복용 후 약을 먹기 전과 똑같은 불면을 겪게 되었고 약 용량을 늘려도 별다른 효과를 볼 수 없었습니다

그래서 쿠에타핀 약을 주셨는데
잠은 어느 정도 잘 수 있지만 다시 악몽을 꿉니다
기억을 더듬어보니 쿠에타핀이 처음 먹었던 그 약같습니다

질문드리고 싶은 것은
Q.약물때문에 꿈의 내용이 변하거나 악몽을 꿀 수 있나요?
입니다.

그리고 개인적으로는 잠때문에 너무 힘들고 악몽때문에 점점 잠이 두려워져서 수면유도제 대신 아예 수면제를 처방받고 싶은데
부작용이 있을까 조금 무섭기도 합니다
Q.수면유도제를 복용하는 것고ㅏ 수면제를 복용할 때의 몸의 변화는 어떻게 다른가요?
Q.제 상태에서 수면제를 처방받을 수 있을까요?

글이 너무 길었습니다 질문도 많습니다 죄송합니다 죄송하지만 답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answer Re : 사회불안장애와 만성우울증이 있습니다.
배성범
배성범 전문의 HiDoc 하이닥 스코어: 108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안녕하세요, 하이닥 정신건강의학과 상담의 배성범 입니다.

꿈은 무의식의 활동이 이미지화되어 나타나는 정신의 작용인데, 처방되어 쓰이는 약물중에 꿈의 내용을 바꿀 수 있는 약물은 없으며 수면을 유지시키는 약물들이 악몽을 줄여주는 효과는 있습니다.
에고(자아)는 심각하고 치명적인 갈등이라고 판단할수록 더 묻어버리는 경향이 있기때문에 치료중에 그런 핵심갈등으로 접근하면서 없던 증상이 생기기도 합니다.

수면유도제는 주로 처방없이 구할 수 있는 비교적 약한 안정효과를 가진 약들의 통상명칭인데 처방약에서 그런 표현이 쓰였다면 잠드는데 특히 잘듣는 수면제를 말하는 것 같습니다.
같은 단어를 두고도 이해하는 당사자마다 받아들이는 것이 다 다르기 때문에 대화를 통해 그런 차이를  좁혀가는 것도 정신과적 상담과정의 일부이고 그런 상의가 잘 이뤄진다면 수면제 처방에 대해서도 주치의 선생님과 의견을 맞출 수 있을 것입니다.

정신과적 약물치료는 약물의 화학작용만이 아니라 치료과정에서 경험하는 여러가지 현상들과 그로 인한 궁금증을 주치의와 터놓고 상의하는 과정이 다 포함된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