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닥

상담 목록

Question 새끼발가락 폐쇄성골절 지금은두달넘었습니다.
2018년3월30일쯤 새끼발가락골절로 진단받고
응급실에서 반깁스를 하고 다음날 정형외과진료받고
엑스레이사진찍고 반깁스를 한달하고 매주마다가서 엑스레이찍으면서 잘붙고있나보구 4월30 일 한달째되는날 엑스레이를 찍지않은채 깁스를 그만해도된다하시더라구요.
그리고나선엑스레이를 찍어보니아직 뼈가 붙지않았더라구요
거기서 한달하고12일이더지난 지금 까지도계속 발가락이자꾸아퍼서 다시사진을찍어 보았습니다.
근데뼈가 엇갈려서 있드라구요.
이런경우 어떡해야하죠?
제가일하는곳이 병원인데 정형외과는아니구요 .
사진은찍어볼수있습니다.
다시못미더운 정형외과로가보는게 맞을까요?
아님그냥 두는게맞을까요?
아님다른정형외과를가볼까요?


answer Re : 새끼발가락 폐쇠성골절 지금은두달넘었습니다.
양성석
양성석 전문의 걸포바른정형외과의원 하이닥 스코어: 161
전문가동의 1 | 답변추천 0
질문자의 감사 인사 |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고맙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고맙습니다.

안녕하세요, 하이닥 정형외과 상담의 양성석 입니다.

2018년3월30일쯤 새끼발가락골절로 진단받고 치료 받으셨고, 현재 수상일로 2달 반 정도가 경과하였습니다.
보통 4-6주 정도 깁스 고정을 하는데 4주간 하시고 풀고 체중부하 하는 과정에 약간의 골절부 전위가 발생한 것 같습니다.

대부분의 경우엔 약간의 전위가 발생하였으나 2달반 경과하였기 때문에 골절 부위를 수술 또는 도수조작을 통한 정복하는 것은 불가능할 것으로 보이나, 현재도 통증이 지속되며 전위가 지속된다면 수술적으로 교정 후 고정하거나, 다시 부목 고정과 비체중부하를 하는 것이 통증이나 전위예방에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통증이 지속되고 있다면 수술이나 부목고정하여 통증 조절하는 것을 추천드리고, 통증이 감소 중이라면 전위된 채로 유합이 진행 중으로, 큰 합병증은 없을 것으로 생각되고, 추후 통증 및 불편함이 발생할 경우에 그때 치료를 받으시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