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하이닥 한방과 상담의 변기원 입니다
우리 몸은 항온성을 유지하려고 자율신경게에서 자동으로 조절을 합니다.
즉 여름철에는 더위로 인하여 체온이 올라가기 때문에 땀을 통하여 열을 식히고 반대로 겨울철에는 추위로 인하여 체온을 빼앗기기 때문에 피부가 수축이 되어 체온을 유지하게 됩니다.
음식마다 성질이 있어서 인삼은 따뜻한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추위를 많이 타는 소음인이 주로 먹는 것이 좋습니다.
삼계탕에 드어 있는 닭은 성질이 급하고 열이 많은 고기라서 몸이 찬 분들이나 소화장애가 있는 분들이 여기에 인삼을 넣어 먹는 것 입니다.
반대로 냉면에 있는 메밀은 찬 성질인데 여기에 얼음을 넣어 오히려 차게 먹는 것입니다.
이롸 같이 찬 성질과 온도를 상황에 맞게 조절해서 먹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열치열이라는 말이 있는데 이 말의 뜻은 더운데 오히려 더 따뜻한 음식을 먹어서 땀이 나면 땀이 배출되면서 오리려 열이 식는다는 말 이지 늘상 그렇게 해야 된다는 말은 아닙니다.
결론적으로 말한다면 열이 아주 많은 소양인이라면 여름에는 성질이 찬 음식을 차게 먹는 것이 좋고 소양인이라도 추위를 조금 탄다면 차가운 성질의 음식을 조금 따뚯하게 먹는 것이 좋습니다.
겨울에는 따뜻한 음식을 따뜻하게 먹는 것이 일반적으로 좋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