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닥

상담 목록

Question 몇달전부터 불면증에 시달리고있는데 수술 영향도 있다고 하는데요
작년 9월에 파열성 뇌동맥류로 병원에서 수술을 받은 환자입니다 지금은 퇴원했고 모든 기능은 정상입니다
몇달전부터 불면증에 시달리고있는데 수술 영향도 있다고 하는데요 두달전부터 스틸녹스를 처방받아 복용하고있습니다
1/2정씩 먹고있는데 의사샘이 될수 있으면 먹지말라고 하시는데 안 먹으면 그날은 잠을 하나도 못자서 뜬 눈으로 새곤합니다 내성이 생기거나 약먹는게 습관이 될까봐 우려가된다고 하셨는데 약을 끊는게 맞는건가요? 저도 끊고 싶지요
주3~4회 헬스를 다니고 주1회정도는 근교로 나가서 꾀 걷기도합니다 (만보정도)수면에는 그닥 도움이 안되는거 같아요


answer Re : 작년 9월에 파열성 뇌동맥류로 병원에서 수술을 받 ...
신홍범
신홍범 전문의 코슬립수면의원 하이닥 스코어: 174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안녕하세요, 하이닥 정신건강의학과 상담의 신홍범 입니다.

수술 이후 불면증으로 현재 수면제를 복용중으로 수면제 복용에 고민이시군요.

스틸녹스는 졸피뎀계열의 향정신성약품으로 내성, 중독성이 강한 약품으로 복용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수면제 없이 불면증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스스로 잠을 잘 수 있도록 행동과 습관 등의 교정을 통해
잠을 잘 수 있는 힘을 길러 보아야 합니다.
그 방법에는 인지행동치료, 뇌파되먹이기치료, 경두개자기자극치료 등이 있습니다.
수면위생을 지키면서 비약물 불면증 치료를 받아보신다면 당장 잠드는 것은 힘들겠지만
보다 장기적으로, 부작용 없이 잠을 잘 수 있고 불면증 재발에도 보다 대처하기 쉬울 것 입니다.
이러한 불면증 치료는 의사의 진료하에 수면검사, 심리검사를 통해 진단받고 치료를 받아볼 수 있습니다.

현재 헬스 등의 운동을 하고 계신데 어느정도 가벼운 운동과 규칙적인 생활은 수면에 도움을 주지만
너무 과격한 운동이나 몸의 혹사는 오히려 몸의 긴장도를 높여 수면을 방해합니다.

감사합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answer Re : 몇달전부터 불면증에 시달리고있는데 수술 영향도 있다고 하는데요
박예리
박예리 영양사 -(프리랜서로 근무중) 하이닥 스코어: 11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안녕하세요, 하이닥 영양상담사 박예리 입니다.

숙면에 도움을 주는 영양소는 아래와 같습니다.

1. 트립토판 : 필수 아미노산으로 반드시 음식으로 섭취해야 하는 영양소로 뇌에서 세로토닌으로 변화됩니다.
ex. 닭고기, 우유, 콩류 등

2. 세로토닌 : 멜라토닌의 재료가 되는 호르몬으로 낮에 햇빛을 받으면 분비됩니다.
ex. 키위, 호두 등

3. 멜라토닌 : 밤에 수면을 담당하는 호르몬입니다.
ex. 바나나, 체리 등


먹는 시간과 양이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라 평소에 체내 농도를 높이는 게 중요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answer Re : 몇달전부터 불면증에 시달리고있는데 수술 영향도 있다고 하는데요
최해현
최해현 하이닥 하이닥 스코어: 4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안녕하세요, 하이닥 운동상담사 최해현 입니다.

운동을 하면 체온이 올라가는데 그에 따라 머리 안의 온도도 조금 상승하여 수면 중 뇌 중추를 자극하여 잘 자게 만든다는 주장이 있으며 사람에게는 하루에 일정하게 반복되는 일주기가 있는데, 운동이 일주기를 변화시켜 수면에 좋은 영향을 줍니다.

운동 시 가급적 밝은 야외에서 운동을 하는 것이 좋으며 하루 중 운동할 시간은 30분 이상 자신에게 편한 시간을 택하도록 합니다. 지나친 운동보다는 가벼운 조깅, 걷기 등의 유산소 운동이 좋습니다. 걷기 운동은 교감신경을 흥분시키지 않는 이완된 상태에서 적당량의 유산소 운동을 즐길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