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하이닥 정신건강의학과 상담의 신홍범 입니다.
수면무호흡증이 의심 되신다면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진단 받고 치료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수면무호흡증은 수면 중 10초 이상 숨이 멈추는 질환으로
혈압의 상승, 체내 산소포화도의 저하, 맥박 상승 뿐만 아니라 복압의 증가로 수면 중 화장실에 자주 가게 되고
숨을 쉬기 위해 잠을 자다가 자주 깨게 되어 심각한 수면의 질 저하가 발생됩니다.
이러한 수면무호흡증이 오래 지속되게 되면 고혈압, 심장질환, 뇌신경계 질환, 비만 등으로 이어져
더욱 큰 위험으로 다가올 수 있어 조기에 치료가 필요합니다.
수면무호흡증은 보통 코골이와 동반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어 특히 혼자 잠을 자는 경우
스스로 알아차리기가 어렵습니다.
술을 드셨을 때 그런 것 같다고 하신다면 술을 드시지 않았을 때도 수면무호흡증이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룻밤 잠을 자면서 수면을 관찰하는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수면무호흡증, 코골이와 같은 수면 호흡장애의 정도를 알아보고
수면의 상태를 파악하여 본 후 그에 따른 수면무호흡증 치료를 받게 됩니다.
심각한 수면무호흡증의 경우 양압기 사용 처방을 받게 됩니다.
공기의 압력으로 정상적인 수면으로 잠을 잘 수 있게 해 주는 양압기를 사용함으로써
수면무호흡증을 조절 해 볼 수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의사의 진료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