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닥

상담 목록

Question 수신증 환자에게 안 좋은 음식이나 하지 말아야할 행동..
수신증 진단받은지는 얼마 안됐구요.(큰 병원가기 전에는 개인병원에서 신우신염인줄 알고 항생제 2주간 처방해서 그거 먹었습니다. 수신증은 대학 병원 CT, 엑스레이 찍고 알았구요. 자세한 상황은 아직 CT 결과가 안 나와서 자세히는 모릅니다.)

엑스레이보여주시면서 설명하셨는데 신장에 부종이 붙어 있어서 요관을 꽉 막고 있더라고요.
한달 후에 도로 넓어지길 바라면서 그때 가서 요관 확장 수술을 할지 결정하자고
일단 2주간 약물 치료해보자면서
염증 치료약+위장약을 처방해주셨어요.
수신증인데 방광도 좀 부었다면서..


제가 궁금한거는..

1. 지금은 일단 약물로 치료하면서 경과기다려 보는 단계인것 같은데, 요관이 도로 정상적으로 돌아오는 건 제가 크게 노력한다고 되는건 아니겠지만 그냥 운에 맡기고 호전되길 기다리는 수 밖에 없는 걸까요? 수술은 정말 하기 싫어서요..

2. 수신증에 음식이 많이 좌우되는지 궁금하구요.
찾아보니까 수신증 환자한테는 프림이나 고기와 같은 고단백 식품, 주류 식품이 안 좋다고 하던데.. 또 어떤 분은 먹는건 상관없다 하시고... 뭐가 맞는지 헷갈리더라구요.
술은 원래 안 좋아해서 안 마실 수 있고요.
고기나 우유, 바닐라빈 파우더(바닐라 라떼 만들어 먹는다도 사놨거든요.) 이런건 먹으면 안되는 건가요?
그 밖에 먹으면 안되는 음식도 좀 알려주세요..

3. 운동이나 복부 압박하는 행동, 몸이 흔들리는 경우도 유해한지 궁금합니다...
윗몸 일으키기 포함해서 홈트레이닝 운동을 하고 싶은데 혹시 배 눌려서 통증 도로 재발할까봐, 수신증 상태 악화될까봐 걱정되더라구요.
기분탓인지 차탔을 때 몸이 과도하게 흔들리면 괜히 걱정되고 긴장돼요. 여름 휴가가서 액티비티 레포츠도 하고
짚라인이나 놀이 기구도 타고 싶었는데 이런 행동들은 괜찮은지도 모르겠구요.

병원에서 진단 결과받은 날에 주치의분께서 딱히 뭐 조심해란 말 없으셨긴 한데 그럼 그냥 일상생활에 문제없는건가 의아해요. 괜히 악화될까봐 과하게 걱정돼서 뭘 조심해야 할지 모르겠더라구요

(첨부파일에 있는건 처방받은 약인데요, 아침 저녁 둘다 똑같습니다. 혹시몰라 첨부해요.)


answer Re : 수신증 환자에게 안 좋은 음식이나 하지 말아야할 행동..
송슬기
송슬기 전문의 신세계항의원 하이닥 스코어: 3111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안녕하세요. 하이닥 외과 상담의 송슬기입니다.

1. 지금은 일단 약물로 치료하면서 경과기다려 보는 단계인것 같은데, 요관이 도로 정상적으로 돌아오는 건 제가 크게 노력한다고 되는건 아니겠지만 그냥 운에 맡기고 호전되길 기다리는 수 밖에 없는 걸까요? 수술은 정말 하기 싫어서요..
-> 대부분 자연적으로 좋아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2. 수신증에 음식이 많이 좌우되는지 궁금하구요.
찾아보니까 수신증 환자한테는 프림이나 고기와 같은 고단백 식품, 주류 식품이 안 좋다고 하던데.. 또 어떤 분은 먹는건 상관없다 하시고... 뭐가 맞는지 헷갈리더라구요.
술은 원래 안 좋아해서 안 마실 수 있고요.
고기나 우유, 바닐라빈 파우더(바닐라 라떼 만들어 먹는다도 사놨거든요.) 이런건 먹으면 안되는 건가요?
그 밖에 먹으면 안되는 음식도 좀 알려주세요..
-> 고기 고단백식이만 조심하세요 , 물 많이 드세요 .

3. 운동이나 복부 압박하는 행동, 몸이 흔들리는 경우도 유해한지 궁금합니다...
윗몸 일으키기 포함해서 홈트레이닝 운동을 하고 싶은데 혹시 배 눌려서 통증 도로 재발할까봐, 수신증 상태 악화될까봐 걱정되더라구요.
기분탓인지 차탔을 때 몸이 과도하게 흔들리면 괜히 걱정되고 긴장돼요. 여름 휴가가서 액티비티 레포츠도 하고
짚라인이나 놀이 기구도 타고 싶었는데 이런 행동들은 괜찮은지도 모르겠구요.
병원에서 진단 결과받은 날에 주치의분께서 딱히 뭐 조심해란 말 없으셨긴 한데 그럼 그냥 일상생활에 문제없는건가 의아해요. 괜히 악화될까봐 과하게 걱정돼서 뭘 조심해야 할지 모르겠더라구요
-> 일상생활 모두 가능합니다.

답변을 참고하시기 전에 1. 온라인 상에서의 답변은 제한적인 정보에 따른 견해로 법적인 책임이 없는 참고 정보로만 고려해주세요.2. 정확한 의학적 검진과 판단은 가까운 신장내과 에 방문하셔서 전문의에게 들으시기 바랍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