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닥

상담 목록

Question 사면발이 질문입니다.
남자친구가 헬스장에서 사면바리를 옮아왔습니다.
잠복기는대략 일주일정도인것같았구요
집이리모델링중이라서 텔에서생활중 일어난일입니다.
4월2일 금 요일 음모부분에서 사면바리 성충4마리와
서캐다수를발견
피부과랑 비뇨기과를하는병원으로가서
진단받고 먹는약과 유락신10g 처방을받았습니다.
그날은 온몸의 털을 다밀고 저녁까지대기하다가
다리부근에서 사면바리성충을 한마리발견 잡고
저녁에 유락신을 전신에 발라준후 가운을입고
잤습니다(연고가 부족해약간부족한감 있었음 )

2일차

자는내내 머리간지러움 등간지러움 얼굴간지러움
다리간지러움이있어서 약국 방문
유락신2통 비오킬2통 신신라이덴 플러스?(이름이 기억이안남 머릿니잡는약 )
을사서 텔로복귀후 본격적으로 준비시작.
약을씻어내고 머릿니약으로 10분후 샴푸후
참빗으로 빗어줌, (성충시체 없음 그나마 나온건
검정색? 물방울무늬 서캐같은것 하나 눌러봤더니
아무느낌도안남)
그리고 침대시트 베개시트 조심히벗겨낸후
처리 (수건도 동일)
그아래에 매트와 깔린것들에 꼼꼼히 비오킬분사
배개도 분사.
텔 방안전체에 비오킬분사했고 천가구들에도 혹시몰라 분사하였습니다.
그후 새가운을입고 세탁방에가서 세탁 후(온수아님)
고온건조를함 (40분)

다녀온후 세탁물겉면에 비오킬뿌려주고
새 시트에도 비오킬분사
베개 안쪽에 비오킬분사후 배게시트씌워주고
한번더분사.
화장실변기쪽에도 뿌려주었 습니다
나머지는 방곳곳ㅇㅔ 뿌려주었습니다.

그후 샤워한번하고
한시간후 약을 촉촉하게 듬뿍 몸전체에 발라준후
새가운을입고 이불덮고 잤습니다.

3일차

여전히 가끔씩 머리랑얼굴 등이간지럽고해서
약을 씻어준후
바디워시와 샴푸로 몸을씻어주었습니다.
여전히 사면발이의 시체나 물었을때 나타난다는
증상 은 보이지않았습니다.(푸른반점이나 색변함 같은것)
침대시트가흰색이라서 서캐나 성충이있으면 잘보일법한데...

저녁에 샤워후 똑같이 유락신 전신도포해주었습니다
(목제외 아랫부분)
유락신을바를때 아래민감한부위에 열감이있지만
잠시뿐이고
항문과 그주위가 가려웠지만 그건 사면발이 전에도
있었던증상이라 긴가민가합니다.
분비물이 좀 늘어남...(약바르고난후)

4일차
여전히 등과 머리와 얼굴이간지러움..
신경과민일수도있고
사면바리부작용일수도있다는글이보여서...
그런쪽일까 생각해봤습니다.,.
간지러운곳을봐도 벌레는없습니다..
약바르고있을때도 간지럽습니다...
머리안에 여전히 서캐는보이지않는것같아요
머리숱이 별로없는 곱슬머리이고
전에 참빗했을때 머리가 많이엉켜서
머리숱이 한움큼빠졌었는데
그안에 서캐나 사면바리가 보이지않았습니다

다른사람들이말하는 음부 미친듯간지러움은 나타나지않았습니다ㅠㅠ

1.치료약을 전신듬뿍바르고 가운입고 좀 말린뒤 이불덮고자는데 치료약이 다닦여서 치료가되지않을까
걱정됩니다.
샤워할땐 물로만 씻어내는데 미끌미끌하거든요.
근데 물이안닿으면 발려있는지 느낌이안나서불안힙니다.

2.사면발이 말고 간지러움의 문제가있을까요?
하얗게 각질도 일어났었는데 약바르고난후는각질안보입니다. 머리와 얼굴 등 다리는왜간지러운걸까요.. .
약을발라놓은상태에서도 간지럽습니다.

3.머리나 얼굴에 벌레가있을까요?
거울로봐도 안보입니다.

4. 총 3일전신도포중인데 아직도 사면발이가 남아있을까요?ㅠㅠ


5. 비오킬을 쓰고 고온건조로는 역부족이였을까요?
ㅜㅜ

부탁드립니다 알려주세요ㅠㅠ
약을써도 사면바리 시체는안보이고..
피빨고남은 분비물같은것도 첫날부터 보이지않고...
간지랍고 왜이런가요ㅠ.ㅠ
너무 무서워요


answer Re : 사면발이 질문입니다.
박정민
박정민 전문의 에스앤유서울비뇨의학과의원 하이닥 스코어: 48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1
질문자의 감사 인사 | 감사합니다... 임신으로인한 가려움증이였어요

감사합니다... 임신으로인한 가려움증이였어요

안녕하세요. 하이닥 비뇨의학과 상담의 박정민입니다.

사면발이의 경우 유*신 한 두번 정도의 도포면 다 사라집니다.
오히려 연고나 다른 바르는 약의 과도한 사용으로 인한 접촉성 피부염 등에 의한 가려움일 가능성이 높겠습니다.
연고 사용 중단 하시고 피부과 방문하시어 약물 처방 받으시면 될 것으로 판단 됩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