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닥

상담 목록

Question 시야검사 MD값 내용의 추가적인 질문인데요
21년도부터 시신경검사를 정기검진차원으로 받앗엇는데
21년에는 다른안과에서 시야검사를 받앗고 그때 MD수치는 -2.09엿고 22년도 부터는 새로생긴안과에서 진료를 받앗엇습니다
21년부터 23년까지 MD수치가 -2.09 -2.91 -3.51로 늘어낫엇고 반대쪽눈은 반대로 -2.74 -2.30 -1.91로 줄어들엇는데 항상 검사소견은 정상소견이엿고 시야맵에도 깨끗햇는데 저정도 수치가 올라가는건 별 문제 없는건가요?
OCT나 안저사진도 3년째 비슷햇습니다


answer Re : 시야검사 MD값 내용의 추가적인 질문인데요
이효석
이효석 전문의 밝은안과21의원 하이닥 스코어: 68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질문자의 감사 인사 |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고맙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고맙습니다.

안녕하세요. 하이닥 안과 상담의 이효석입니다. 네 OCT 나 안저사진도 괜찮고 그러신다면 너무 의미를 두시지 않으셔도 될 거 같습니다. 그리고 시야검사 기계가 바뀌면 MD 값도 당연히 변화가 있을 수 있습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answer Re : 시야검사 MD값 내용의 추가적인 질문인데요
이이호
이이호 전문의 창원파티마병원 하이닥 스코어: 2022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질문자의 감사 인사 |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고맙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고맙습니다.

안녕하세요. 하이닥 외과 상담의 이이호입니다.

시력의 변화와 함께 시신경의 변화도 일어날 수 있으며, 이는 나이, 유전적인 요인, 생활 습관, 질병 등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시신경은 뇌와 눈을 연결하는 중요한 신경으로서 시야를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시신경의 손상이나 질환이 있다면 시야 손실, 시야 왜곡, 시야 이상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시력이나 시야 검사 결과가 정상이라면, 시신경에 질환이나 손상이 없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그러나 MD(중심 시야 결손) 값이 점차적으로 악화되는 것은 시신경에 어떠한 원인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시력 검사와 함께 시신경 검사도 함께 받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시력이나 시야 검사를 받는 간격이 짧아서 시력의 변화나 시신경의 변화가 반영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검사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검사결과의 추이를 함께 관찰해야합니다. 만약 저정도 수치가 계속해서 악화된다면, 시신경 질환 등의 가능성이 있으니 정기적으로 검진을 받으시고, 의료 전문가의 상담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