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하이닥 피부과 상담의 김지우입니다.ADHD 약과 항우울제를 동시 복용 가능합니다.
원발성 폐성 고혈압은 대부분 원인이 알려져 있지 않다. 일부 환자를 통해서 식욕 억제제, 에스트로겐 및 피임약 복용 등이 추측되고 있습니다. 한편 일부 환자의 가족 내에 폐성 고혈압 환자가 있는 것을 통해 유전적 요인도 일부 있을 것으로 추측됩니다.
1차성 폐성 고혈압에서 혈압이 상승하는 원인은 폐혈관이 좁아지는 것. 혈관이 수축되거나, 혈관 내 혈액이 응고되어 혈관을 막거나, 혈관을 구성하는 세포들이 자라나 혈관벽이 두꺼워지면 혈관이 좁아집니다. 이러한 변화는 굵은 혈관보다는 지름 1mm 이하의 작은 혈관에서 발생하며, 폐 전체에 걸쳐 발생합니다. 굵은 혈관의 일부가 좁아진 것이라면 수술로 좁아진 부분을 넓힐 수 있으나, 원발성 폐성 고혈압에서는 폐 전체의 작은 혈관들이 좁아지기 때문에 혈관의 일부를 수술하기보다는 폐 전체를 이식하는 수술을 통해 치료합니다. 최근에는 혈관 확장제를 이용해 혈관의 수축을 이완시키고, 혈액 응고 억제제로 혈관 내 혈액의 응고를 방지하며, 프로스타시클린, 엔도쎌린 길항제 등 좁아진 혈관을 확장시키는 약물을 이용해 증상 및 예후를 호전시킬 수 있습니다.
한편 2차성 폐동맥 고혈압이 발생하는 원인은 크게 두 가지다. 심장 질환이 있는 경우는 심장의 기능이나 판막의 이상으로 좌심실의 이완기말 압력이나 좌심방의 압력이 상승하면 폐정맥의 압력이 상승합니다. 그러면 결국 폐동맥의 압력도 상승하는데, 이로 인해 폐동맥 고혈압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폐 질환의 경우에 산소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저산소성 폐동맥 수축 현상이 발생하여 폐동맥 고혈압이 발생합니다. 혈전(피떡)이 폐동맥을 막아서 발생하는 혈전증이나 색전증에 의하여 폐동맥 고혈압이 급격하게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이외에 폐 질환으로 인해 산소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저산소성 폐동맥 수축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폐 손상으로 폐실질 용적이 감소되어 있는 경우, 폐동맥에 혈전증이 발생하여 폐색이 발생한 경우도 궁극적으로 폐동맥의 변화를 초래하여 폐동맥 고혈압을 발생시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