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닥

상담 목록

Question 외과 전문의가 지방종 진단하였으나 지방육종인 경우?
40대 중반 남성입니다.
얼마전 왼쪽 팔 혈관 근처에 볼록한 것이 만져져서 외과 병원에 가보니 촉진 후 지방종이라고 하셨습니다.
초음파를 보여주시며 얇고 0.7cm정도 된다고 하셨습니다.
선생님 생각에는 가지고있어도 무방할 것이라고 하셨는데 저는 조금 놀라기도하고 해서 제거하고 싶다고 했습니다.
결국 국소마취 후 제거를 했습니다.
살짝 보여주셨는데 무슨 대두 콩 처럼 생겼더라구요. 잘 제거되었다고 하셨습니다.
그런데 혹시 모르니 조직검사를 의뢰하겠다고 하시더라구요.

갑자기 두려움이 몰려옵니다.

육안, 초음파, 수술 완료 후에도 지방종이라고는 하셨는데 조직검사 후 다른 방식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얼마나 되는지 궁금합니다.

선생님들의 경험이 궁금합니다.


answer Re : 외과 전문의가 지방종 진단하였으나 지방육종인 경우?
이이호
이이호 전문의 창원파티마병원 하이닥 스코어: 2015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1
안녕하세요. 하이닥 외과 상담의 이이호입니다.

지방종과 지방육종은 조직학적으로 다른 종양입니다. 일반적으로 지방종은 양성 종양으로 분류되며, 거의 대부분의 경우 악성으로 진행하지 않습니다. 지방종은 지방 세포로 이루어진 양성 종양이며, 일반적으로 크기가 작고 피부 또는 피하조직에 발생합니다.

하지만 조직검사를 통해 지방종으로 진단된 경우에도 드물지만 지방육종으로 판명될 수 있습니다. 지방육종은 지방 세포가 비정상적으로 증식하여 악성 종양으로 전환된 경우입니다. 따라서 조직검사를 통해 종양의 성격을 확인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지방종은 다른 종양으로 변하거나 악성으로 전환되는 경우가 매우 드뭅니다. 그러나 악성 변화가 의심되거나 종양의 성격을 명확히 하기 위해 조직검사를 시행하는 것은 일반적인 절차입니다. 조직검사를 통해 종양의 성격이 확인되면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의사가 조직검사를 권장한 이유는 종양의 성격을 확실히 알아내기 위함이며, 이를 통해 필요한 추가 치료 여부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조직검사 결과가 나오기 전까지는 불안하고 걱정스러울 수 있지만, 검사 결과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의사의 조언을 따르고 조직검사 결과를 기다리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