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닥

상담 목록

Question 앉아있을때 팔저림이 심합니다 점점심해지는게 보여요..
살면서 팔관련 아픈적이 없었으나 2021년 여름쯤에 힘든일을겪고 하루에 20시간정도씩 3개월동안 컴퓨터만 했습니다.
2~3주 지나니까 오른 전완근이 저리고 손에 힘이 안들어가더군요 그러면 3시간쉬고 또 20시간씩 게임을 했습니다..

그후 정상적인 삶을 살아가며 게임을 접었지만 ... 필기할때나 컴퓨터를 1시간정도 사용하면
오른손 위주로 손이 저리고 달아오르는 만성적인 무언가가 생겼습니다
(다만 책상에 팔을 아예 안쓰고 앉아만 있으면 10시간도 괜찮았고 운전 6시간해도 멀쩡했음)

그렇게 시간이흘렀고 2023년부터 집에서 팔굽혀펴기랑 턱걸이를 조심스럽게 시작했습니다
그러나 조금 무리하면 팔꿈치가 자주아파서 쉬게됐고 회복도 더뎠고 먼가 몸이 예전과 다름을 느꼇어요

그렇게 살다가 시간이 남아 6개월전에 발치했던 치아를 임플란트하고 몸을 정비했습니다.

2023년 3월 7일 뼈이식+임플란트
수술할때 턱이 개아팠지만 잠깐이었고 그후 성공적으로 됐다고하심 (구내염등등 턱통증 이상무)

2023년 3월 9일 규모가 큰 정형외과 첫방문
증상설명후에 목쪽 엑스레이찍으니 괜찮아보인다고 판단하셨고
오른쪽 팔꿈치mri 3.0 으로 찍었는데 아주 멀쩡하다고 하셨습니다
그래서 노란색 비타민 링거맞고 근육이완제 진통소염제 받고 집에왔습니다..


갑자기 다음날 3월 10일부터 팔 다리 사타구니쪽에 점점.. 점상출혈이 생겼어요 (진통소염제 이완제 안먹었는데)

병을 치료하러갔는데 병을 얻어서 자포자기하는 심정으로 아무것도안하고 잠만잤더니 4일정도후에 조금씩 없어졌습니다..

근데... 이때부터 1년동안 제자리걸음이엇던 팔의 불편함이 좀 가속화 되는 느낌이 들었고
오른쪽만 불편했는데 이제는 왼손도 저리기시작하고
앉아있기도 불편한 상황이되었습니다;;( 원래는 앉아서 아무것도 안하면 괜찮았는데요;;)

그래서 3월10일에 처방받았던 근육이완제 진통소염제를 처음으로 먹었습니다
다행히 약효가 들었고 정상인이 돼서 너무 행복했어요 근데 3일째 4일째부터는 약효가 좀 덜받았고
7일치 다먹으니까 점차 원래대로 돌아왓어요....( 양손저림 및 통증....... 간혹 다리저림..)


그래서 저번에 생긴 빨간점이 계속생각나서 인터넷 검색을하였고
4월말 류마티스 내과에서 있었던일 설명후 혈액정밀검사를 받았습니다.

혈관염x 혈소판감소증x 에이즈 매독 등등 전부정상이고
콜레스트롤만 꽤높다고하셧어요 하지만 이건 젊으니까 운동하면 바로내려갈수있고 관련없다고하셨습니다....


그뒤로 병원은 가지않았어요
2023년 3월부터 운동도 한적없으며 손을 최대한 사용하지않고 잠도 하루에 12시간씩 잤지만

팔저림및 통증이 조금식조금씩 심해집니다..
이틀전부터 왼쪽다리가 저리더만 이제 양다리가 계속 저리네요(다리는 통증없음)
오늘은 머리도 한 4시간 저려서 미치겠습니다;;



임플란트 그리고 정형외과 수액 맞은뒤로 몸이 확실히 안좋아졌는데 연관이없을까요? 임플란트가 연관있으면 뽑아버리고싶어요ㅠ
저의 경우에 어떤검사를 받아봐야할까요? 목디스크? 신경전도검사? 솔직히 뭐가뭔지도모르겠어요
인터넷에 엄청나게 많은정보가 있지만 일반인인 저로서는 구분을 할수없어요..


두서없는글 죄송합니다.


answer Re : 앉아있을때 팔저림이 심합니다 점점심해지는게 보여요..
박종원
박종원 전문의 아나파신경과의원 하이닥 스코어: 867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1
안녕하세요. 하이닥 신경과 상담의 박종원입니다.
피부의 변화는 제 전문분야가 아니며
팔저림과 다리의 통증은 증상을 느끼는 부위의 순환장애로 생각되며
뒷목과 등부분의 근긴장이 반복되고
지속될수록 치료가간도 더 오래걸립니다.
몸이 안좋다고 쉬지 마시고
많이 활동하시는게 좋으며
치료는 목과 등 척추 주변을 위주로 진행됩니다.
임플란트와 수액은 연관성이 없을 가능성이 더 많습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answer Re : 앉아있을때 팔저림이 심합니다 점점심해지는게 보여요..
이이호
이이호 전문의 창원파티마병원 하이닥 스코어: 2015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1
안녕하세요. 하이닥 외과 상담의 이이호입니다.

여러 증상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몇 가지 가능한 원인을 제시해 드릴 수 있습니다. 그러나 진단을 위해서는 정확한 의료 상담과 신체 검사가 필요합니다. 이런 증상으로 고민하시는 경우, 가장 좋은 방법은 정확한 진단을 받기 위해 신경과 전문의 또는 정형외과 전문의를 찾아가시는 것입니다.

가능한 원인 중 몇 가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자세와 근육 부담: 장시간 앉아 있거나 특정 자세로 인해 특정 부위에 혈액 공급이 제한되어 저림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신경통 및 신경병증: 신경통이나 신경병증은 신경 구조에 문제가 있는 경우에 나타날 수 있습니다.
요통 및 척추 이상: 요통이나 척추 이상은 신경 구조에 압력을 가해 팔이나 다리에 저림이나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척수 및 뇌신경 이상: 척수나 뇌신경 이상은 다양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신경과 전문의의 상담이 필요합니다.
또한, 이 외에도 각종 검사와 진단이 필요한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진단을 받기 위해 의사를 찾아가시면 더 정확하고 구체적인 답변을 받으실 수 있을 것입니다. 의사는 증상과 검사 결과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적절한 치료 방법이나 관리 방법을 제시해줄 것입니다.

최종적으로, 의료 전문가의 조언을 따르시고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으시기를 권장합니다. 건강 상태와 증상에 대해 더 자세히 이야기하고, 전문가의 조언을 받으시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