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하이닥 외과 상담의 이이호입니다.
관절염은 연골의 손상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으로, 퇴행성 관절염과 류마티스 관절염으로 크게 나눌 수 있습니다.
퇴행성 관절염은 연령, 체중, 외상, 유전적 요인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관절염으로, 연골이 점차 마모되고 닳아 없어지면서 관절의 통증과 뻣뻣함, 움직임의 제한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류마티스 관절염은 자가면역질환의 일종으로, 면역체계의 이상으로 인해 관절의 연골과 활막에 염증이 발생하여 통증과 부종, 관절 변형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X-ray는 관절의 골격 구조를 관찰하는 데 유용한 검사 방법으로, 퇴행성 관절염의 경우 관절 간격의 감소, 골극의 형성, 연골의 손상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초음파는 관절의 연부조직을 관찰하는 데 유용한 검사 방법으로, 류마티스 관절염의 경우 관절액의 증가, 활막의 비대, 연골하 낭종 등의 소견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MRI는 관절의 연부조직과 골격 구조를 모두 관찰할 수 있는 검사 방법으로, 퇴행성 관절염과 류마티스 관절염 모두에서 가장 정확한 진단 방법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귀하의 경우, 올해 초에 무릎 통증과 부종으로 정형외과를 방문하여 X-ray와 초음파 검사를 받은 결과 관절염이 의심된다는 소견을 받았습니다. 이후 약물치료를 받았으나 몇일 전 다시 무릎 통증과 부종이 발생하여 재방문하여 초음파 검사를 받았고, 이번에는 관절염 소견을 받았다고 합니다. 그리고 큰병원에서 MRI 검사를 받은 결과 물이 찬 것 이외에는 이상이 없다는 소견을 받았다고 합니다.
귀하의 경우, X-ray와 초음파 검사에서 관절염 소견을 받았고, 현재도 통증과 부종이 나타나고 있으므로, MRI 검사에서 관절염 소견이 나오지 않았다 하더라도 관절염일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됩니다.
MRI 검사에서 관절염 소견이 나오지 않은 이유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검사의 한계
MRI는 관절의 연부조직과 골격 구조를 모두 관찰할 수 있는 검사이지만, 검사의 한계가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 퇴행성 관절염의 경우 초기에는 MRI 검사에서 이상 소견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관절염의 종류
관절염은 크게 퇴행성 관절염과 류마티스 관절염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MRI는 퇴행성 관절염과 류마티스 관절염 모두에서 진단에 유용하지만, 특정 관절염의 진단에 더 유용한 검사 방법이 있을 수 있습니다.
관절염의 진행 정도
관절염은 진행 정도에 따라 증상의 정도가 달라집니다. 만약 관절염이 초기 단계라면, MRI 검사에서 이상 소견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귀하의 경우, MRI 검사에서 관절염 소견이 나오지 않았더라도, 현재 나타나는 통증과 부종의 원인이 관절염일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됩니다. 따라서, 귀하의 증상을 정확하게 진단하기 위해서는 정형외과 전문의와의 상담을 통해 추가적인 검사나 치료가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