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닥

상담 목록

Question ICL 삽입 후 초기 백내장 진단을 받아, 제거를 고민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현재 만 26세 남성입니다.

기존에 양안에 고도근시, 정상안압 녹내장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러던 중, 2021년 여름경 후방 ICL 안내렌즈삽입술과 홍체절개술을 받았습니다.

그리고 최근 녹내장 때문에 내원하던 병원에서 양안에 백내장이 시작되었다는 진단을 받았습니다.



그래서 ICL 삽입술을 받은 병원을 찾아가 시력, 안압, 내피세포 등의 간단한 검사후, 내피세포는 2500으로 정상이나 약한 백내장끼가 있다고 하셨습니다.

그러나, ICL의 당연한 부작용이고, 백내장으로 일상생활이 불편해진다면, 인공수정체 삽입을 받으면 되는 문제라서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고 듣고, 돌아왔습니다.



그런데, 제가 나이도 많이 젊고, 백내장 수술 자체도 100% 안전한 수술도 아닐뿐더러, 인공수정체가 건강한 수정체를 대체할 수는 없고, 또 인터넷 등에 검색해본 결과 빠르면 2~3년 안에 백내장 수술을 해야할 정도로 심해지는 경우도 더러 있더라구요.

또, 갑자기 내피세포의 급격한 감소를 보이시는 환우분들도 계시다고 하시니 걱정되어서, 차라리 ICL 제거하고 안경을 끼고 생활하는 것이 좋은지에 대해서 고민중입니다.



현재 궁금한 것이 많아 질문이 많습니다. 최대한의 한도내에서 답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백내장 인공수정체 수술 당시에는 내피세포가 감소하는 것은 알고 있는데, 백내장 수술 이후에도 ICL이나 전방렌즈삽입술 처럼 추후 내피세포가 감소할 위험이 있나요?

2. 20대 혹은 30대의 이른 나이에 백내장 수술을 받는 것의 위험성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3. ICL 제거 후에는 ICL로 인한 백내장은 더 이상 진행하지 않는다고 들었는데, ICL 제거 후에 남들처럼 40대 이후에 백내장이 온다면 또 백내장 수술을 받을 수 있나요?

4. 그리고 ICL 제거후에 안경/렌즈 등으로 일상 생활과 업무에 지장이 없는 교정 시력을 가질 수 있나요?

5. ICL 제거 후 10년 이상 뒤에 백내장 수술을 받는 것과, ICL를 가만히 둔 채로 백내장이 심해져서 ICL을 제거함과 동시에 백내장 수술을 받는 것, 무엇이 더 눈에 권장되나요?

6. 마지막으로, 의사선생님의 주관적인 견해를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타 병원에 추가 내원해 ~~한 검사를 받아봐라, ICL를 제거하는 것을 추천하니 ICL제거를 하는 병원을 알아보고 내원해봐라, ICL제거 자체도 눈에 무리를 주니 추가로 건들이지 말고 추후 백내장 수술을 받는 것이 좋겠다 등)


answer Re : ICL 삽입 후 초기 백내장 진단을 받아, 제거를 고민하고 있습니다.
이동훈
이동훈 전문의 닥터아이씨엘안과의원 하이닥 스코어: 14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질문자의 감사 인사 |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고맙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고맙습니다.

안녕하세요. 하이닥 안과 상담의 이동훈입니다.

1. 백내장 수술 이후에도 내피세포가 감소할 위험이 있나요?
백내장 수술은 수술 당시 백내장을 제거하는 초음파의 열로 인하여 각막내피에 약간의 손상이 갈 확률은 조금 존재 하지만 수술 후에는 백내장 수술로 인한 내피세포 감소 위험은 없습니다.
1-1 ICL이나 전방렌즈삽입술 처럼 내피세포가 감소할 위험이 있나요?
렌즈삽입술은 전방렌즈 삽입술과 후방렌즈 삽입술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전방렌즈 삽입술은 각막내피 와 홍채 사이에 존재하게 되므로 눈을 세게 비비거나, 외부의 충격으로 렌즈몸체와 각막내피의 마찰 등의 요인으로 인하여 각막내피감소의 위험성이 있지만 후방렌즈 삽입술은 렌즈의 몸체가 홍채와 수정체 사이에 놓이게 되므로 후방렌즈로 인한 각막내피 감소의 위험이 없습니다. 다만 후방렌즈삽입술을 하기 전 홍채 절개술을 하셨다면 홍채절개술이 원인이 되어 각막내피의 손상이 있을 가능성은 있습니다.

2. 이른 나이에 백내장 수술을 받는 것의 위험성
백내장이라는 질환은 흰머리가 나고 주름이 지는 것처럼 시기와 정도만 다를 뿐 누구에게나 생기는 질환입니다.
백내장수술은 먼 곳과 가까운 곳을 볼 때 초점을 조절하는 수정체를 제거하고 초점이 하나인 단초점렌즈나 근거리부터 원거리까지 다 잘 보이게 해주는 다초점렌즈 크게 두가지로 분류되는 인공수정체로 교체하는 수술입니다.
이른 나이에 백내장 수술을 받는 것은 태어날 때부터 가지고 있는 수정체를 제거하고 인공수정체로 대체하는 것이므로 조절 능력이 없어지고 약간의 시력 저하 또는 시력의 질 저하 등이 생겨 불편하실 수 있습니다. 안내삽입술을 한 렌즈를 제거하고 이른 나이에 백내장 수술을 받으실수록 백내장 수술을 하는 것과 수술을 하지 않고 더 경과를 지켜보는 것 둘 중 어느 것이 더 이득인지 정밀한 검사 후 리스크와 이익 등을 잘 따져보고 결정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3. 'ICL만' 제거 후라면 네 가능합니다. 백내장 수술은 원래의 수정체를 제거하고 인공수정체로 대체 하는 것이기 때문에 한 번만 하시면 됩니다.

4. ICL 제거후에 안경/렌즈 등으로 일상 생활과 업무에 지장이 없는 교정 시력을 가질 수 있나요?
렌즈삽입술의 장점 중의 한 가지 바로 복원성 입니다. 눈 안의 렌즈를 제거하면 수술하기 전의 눈과 거의 동일하게 돌아가게되는 것입니다. 안내렌즈 제거를 하시게 되면 수술 전의 굴절상태와 같아지게 되므로 예전에 안경이나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던 생활로 돌아간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5. ICL 제거 후 10년 이상 뒤에 백내장 수술을 받는 것, ICL를 가만히 둔 채로 백내장이 심해져서 ICL을 제거함과 동시에 백내장 수술을 받는 것, 무엇이 더 눈에 권장되나요?
"ICL을 가만히 둔 채로 백내장이 심해져"라고 하셨는데 백내장이 생긴 원인이 안내렌즈와 수정체간의 마찰 때문인지 먼저 정확이 짚고 넘어가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구 전방을 눈CT로 촬영하여 수정체와 안내렌즈 간의 거리를 측정 후 렌즈가 수정체와 계속 닿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백내장 정도를 확인하여 판단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만약 렌즈와 수정체가 자꾸 닿아서 백내장을 점점 더 심화시킨다면 렌즈를 제거하고 사이즈를 변경하여 안내렌즈 넣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고 그 다음이 안내렌즈 제거 후 백내장 경과를 지켜보는 것, 그 다음이 안내렌즈 제거와 백내장 수술을 동시에 하는 것 순으로 권장 드립니다. 만약 눈CT 촬영결과가 렌즈와 수정체가 닿지 않았음에도 백내장이 발생했다면 다른 원인을 찾아보셔야 합니다.

6. 마지막으로, 의사선생님의 주관적인 견해를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먼저 2021년도에 후방렌즈삽입술을 하셨다면 그 시기에는 보통 렌즈 자체에 구멍이 뚫려있는 렌즈들로 수술을 하기 때문에 홍채절제술을 하지 않고 렌즈삽입술을 하던 시기입니다. 질문자님이 어떤 후방렌즈로 수술을 하셨는지 저도 매우 궁금합니다. 현재 내피세포 감소와 백내장 두 가지 부작용 때문에 걱정이 많으신 것 같습니다. 후방렌즈삽입술만 하신 분이라면 내피세포의 감소는 걱정마시고 렌즈와 수정체와의 마찰이 생기는지만 확인하시면 되지만 홍채절개술까지 하셨다고 하니 내피세포의 감소도 경과 관찰 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큰 비용 들여서 두꺼운 안경 벗는 수술을 하셨는데 급하게 렌즈 제거수술을 하시는 것 보다는 현재 안내렌즈와 눈 안의 상태를 검사해보고(각막부터 수정체까지 촬영하는 전안부 눈 CT 촬영 등) 결정해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