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닥

상담 목록

Question 위 내시경 조직검사 병리결과지 관련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작년에 아버지께서 위암 초기 판정 받아 위 절제수술을 하시고 얼마 전 추적검사를 위해 위 내시경을 진행했습니다.
위 내시경 중 염증으로 보이는 것이 2개 있어서 조직검사를 진행했고, 조직검사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Diagnosis:
A) Stomach, (low body, lesser curvature), endoscopic biopsy ;
Chronic gastritis with intestinal metaplasia.
B) Stomach, (pyloric-ring, anterior wall), endoscopic biopsy ;
Chronic gastritis with intestinal metaplasia
and focal atypical glands. (see note)
*Note: Follow up is recommended.
*Immunohistochemistry (B) ;
Ki-67: positive of nucleus (reactive).
p53: negative.
The results support the histopathologic diagnosis.

1. 위 결과지에 대해 전체 해석 한번만 부탁드립니다.
2. p-ring 근처의 metaplasia는 이형세포라는 말을 병원에서 들었는데, 이 이형세포는 악성종양이 아니라 일반적인 염증이나 양성 종양의 전구병변일수도 있을까요? (혹시모를 재발이나 전이가 걱정되어 문의드립니다.)
3. Ki-67에 대한 설명 중 맨 끝에 reactive는 반응성이라는 것으로, "암 이외의 원인을 예상한다."라는 의미가 맞을까요?


answer Re : 위 내시경 조직검사 병리결과지 관련 문의드립니다.
이이호
이이호 전문의 창원파티마병원 하이닥 스코어: 1820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질문자의 감사 인사 |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고맙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고맙습니다.

안녕하세요. 하이닥 외과 상담의 이이호입니다.

결과지 전체 해석은 다음과 같습니다.
A. 위 체부 하부 소만곡부 내시경 조직검사

만성 위염
장상피화생
B. 위 유문부 전벽 내시경 조직검사

만성 위염
장상피화생
국소 이형성 선종
위 결과지에 따르면, 아버지께서는 위암 수술 후 추적검사에서 위 체부 하부 소만곡부와 위 유문부 전벽에서 각각 만성 위염과 장상피화생이 발견되었습니다. 그리고 위 유문부 전벽에서는 국소 이형성 선종이 발견되었습니다.

만성 위염은 위 점막에 염증이 만성적으로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장상피화생은 위 점막의 상피세포가 장 점막의 상피세포로 변하는 것을 말합니다. 국소 이형성 선종은 선종의 전구병변으로, 선종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p-ring 근처의 metaplasia는 이형세포라는 말을 들으셨는데, 이 이형세포는 악성종양이 아니라 일반적인 염증이나 양성 종양의 전구병변일 수도 있습니다.
이형세포는 정상 세포와는 다른 모양과 기능을 가진 세포를 말합니다. 이형세포는 악성종양의 전구병변이 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많습니다.

아버지께서 발견된 국소 이형성 선종은 선종의 전구병변으로, 선종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하지만, 선종으로 발전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아버지께서 발견된 이형세포가 악성종양이 아니라 일반적인 염증이나 양성 종양의 전구병변일 가능성도 있습니다.

Ki-67에 대한 설명 중 맨 끝에 reactive는 반응성이라는 것으로, "암 이외의 원인을 예상한다."라는 의미가 맞습니다.
Ki-67은 세포의 증식 활성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Ki-67이 양성인 경우, 세포의 증식 활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아버지께서 발견된 국소 이형성 선종의 Ki-67이 양성이지만 reactive라고 되어 있는 것은, 암 이외의 원인으로 세포의 증식 활성이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는 의미입니다.

즉, 아버지께서 발견된 국소 이형성 선종은 악성종양이 아니라 일반적인 염증이나 양성 종양의 전구병변일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만, 이형세포는 선종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정기적인 추적 검사를 통해 상태를 관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