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하이닥 외과 상담의 이이호입니다.
구강성교를 받기만 해도 성병 감염이 될 수 있습니다. 구강성교를 통해 감염될 수 있는 성병으로는 헤르페스, 매독, 곤지름, 클라미디아, 임균, HIV 등이 있습니다. 구강성교를 통해 감염될 확률은 성병의 종류와 감염자의 감염 상태, 구강성교의 방법 등에 따라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성병이 있는 사람과 구강성교를 하는 경우 감염 확률이 높습니다.
서로 청결하고 깨끗한 상태에서 서로 구강 성교를 했을 때에도 성병 감염 확률이 낮다고는 하지만, 완전히 없다고는 할 수 없습니다. 구강성교를 통해 감염될 수 있는 성병은 대부분 피부나 점막을 통해 감염되므로, 서로의 피부나 점막에 상처가 있는 경우 감염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구강성교를 하는 과정에서 침이나 정액, 질 분비물이 상처에 들어가면 감염될 수 있습니다.
콘돔을 사용하고 구강 성교를 했을 때 성병 감염 확률은 낮아집니다. 콘돔은 피부와 점막을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못하도록 막아 주기 때문에 감염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콘돔이 완전히 밀폐되지 않기 때문에, 콘돔이 찢어지거나 밀려나면 감염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성관계를 처음 하는 사람끼리 관계를 맺는다고 해서 성병에 걸릴 가능성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닙니다. 성병은 성관계를 통해 감염되는 것이지만, 성관계를 하지 않더라도 성병에 걸릴 수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모체로부터 태아에게 전염되는 성병이나, 혈액이나 수혈을 통해 감염되는 성병 등이 있습니다.
성병 없는 사람과 성관계를 한다고 해서 성병에 걸리지 않는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성병은 성관계를 통해 감염되는 것이지만, 성관계를 하지 않더라도 성병에 걸릴 수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한, 성병 검사를 통해 성병이 없다고 판정받았다고 하더라도, 검사 시점에 성병이 없었을 뿐, 이후에 성병에 감염되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따라서, 성병에 걸리지 않기 위해서는 성관계를 할 때 항상 콘돔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성관계를 하는 상대방의 성병 여부를 확인하고, 성병이 의심되는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