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닥

상담 목록

Question 잘 때 허리통증, 갈비뼈통증이 있어요
제가 바닥에 이불을 깔고 자는 생활을 한지 꽤 오래 몇년정도 되었는데요
몇주 전부터 자고 일어나면 허리가 아픈 증상이 생겼어요.
바닥에서 자니까 배겨서 그런가 해서 바른 자세로 자려고 노력했는데
왼쪽으로 한번 돌아누워 잔 이후로
왼쪽 아래 갈비뼈도 아프더라구요ㅠ

평소에 일어나거나 앉아서 생활할 때는 괜찮구요
허리는 90로 굽히거나 할 때 다시 아프고
갈비뼈는 잘려구 누울때 다시 아파요.

평소 자세가 안좋은지 오래되어서 1년 정도 전부터
자세 개선하려고 거북목도 교정하고
허리코어도 키우려고 노력하고 해서 꽤 개선되었는데
이런일이 생겨서 혹시 다른 원인이 있나 걱정됩니다.

혹시 여름, 겨울만 되면 목뒤 등 뒤 가려움증이 재발하는데(외부 증상은 없는데 긁어서 태선화 되고 그래요)
관련이 있을까요?
가려움증도 원인을 모르겠어서요..ㅜ

자세 때문이라면 바른자세를 더 어떻게 만들어야 할지 모르곘는데
바닥을 푹신하게 바꿔야 할까요..?


answer Re : 잘 때 허리통증, 갈비뼈통증이 있어요
홍인표
홍인표 전문의 닥터홍가정의학과의원 하이닥 스코어: 4910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질문자의 감사 인사 |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고맙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고맙습니다.

안녕하세요. 하이닥 가정의학과 상담의 홍인표입니다.
일시적인 허리 통증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런경우는 앉아있는 시간을 최대로 줄이고 서서 있거나 많이 걸어주시는 것이 회복에 도움이 됩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answer Re : 잘 때 허리통증, 갈비뼈통증이 있어요
이이호
이이호 전문의 창원파티마병원 하이닥 스코어: 2022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1
질문자의 감사 인사 |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고맙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고맙습니다.

안녕하세요. 하이닥 외과 상담의 이이호입니다.

바닥에 이불을 깔고 자는 생활을 오래 하다 보면 허리와 갈비뼈가 아플 수 있습니다. 바닥은 딱딱하기 때문에 허리와 갈비뼈에 무리가 가기 때문입니다. 또한, 바닥에서 자면 자세가 틀어질 수 있고, 자세가 틀어지면 허리와 갈비뼈에 무리가 가기 때문에 통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바닥에서 자는 생활을 오래 하다 보면 허리와 갈비뼈가 아플 수 있으므로, 바닥을 푹신하게 바꾸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바른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바른 자세를 유지하면 허리와 갈비뼈에 무리가 덜 가기 때문에 통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가려움증은 여러 가지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여름, 겨울만 되면 목뒤 등 뒤 가려움증이 재발한다면, 습도나 온도 변화에 민감한 피부일 수 있습니다. 또한, 스트레스나 피로가 쌓이면 가려움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가려움증의 원인을 정확히 알기 위해서는 병원에 가서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answer Re : 잘 때 허리통증, 갈비뼈통증이 있어요
송슬기
송슬기 전문의 신세계항의원 하이닥 스코어: 3123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질문자의 감사 인사 |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고맙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고맙습니다.

안녕하세요. 하이닥 외과 상담의 송슬기입니다.
네 그렇습니다. 말을 해주신 정황상으로는 허리나 근골격계 관련해서 통증을 줄일 수 있게 침대 메트리스에 신경을 쓰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answer Re : 잘 때 허리통증, 갈비뼈통증이 있어요
김창래
김창래 전문의 고유가정의학과의원 하이닥 스코어: 532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질문자의 감사 인사 |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고맙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고맙습니다.

안녕하세요. 하이닥 내과 상담의 김창래입니다.
바닥에서 수면을 취하는 것이 통증과 연관이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매트리스를 사용하여 수면을 취해보도록 하고
통증의 변화를 관찰해보시기 바랍니다. 만약 매트리스 사용에도 통증이 지속된다면 수면시 자세 때문이 아니라
근곤격계 질한이 있을 수 있으니 진료를 보실 것을 권해드립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