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닥

상담 목록

Question 폐 색전증 질문입니다.
제가 예전에 흉통, 어지러움, 호흡 힘듬, 가슴 두근거림, 팔다리, 머리 박동, 신체 무력감, 이명 등의 증상, 또 몸에 붉은색으로 혈관체리종과 같은 점도 생겼습니다. 그래서 심장내과, 정형외과, 신경과, 이비인후과, 소화기내과, 피부과 등에서 심전도, 24시 홀터, 혈액 검사(콜레스테롤, 요산) , 뇌 MRI, 폐 활량, 흉부 X-Ray, 심장 초음파 등을 했었습니다. 그런데 별 이상이 없다고 말을 들었고요. 콜레스테롤 220, LDL 140 정도라고 나왔고요. 그래서 심장 관련 문제는 아닌 것 같고 폐 색전증 검사를 받아보려고 하는데요. 그 폐 색전증 검사는 어느 과에서 검사를 받아야 하고, 무슨 검사를 해야 하나요?


answer Re : 폐 색전증 질문입니다.
홍인표
홍인표 전문의 닥터홍가정의학과의원 하이닥 스코어: 3628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질문자의 감사 인사 |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고맙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고맙습니다.

안녕하세요. 하이닥 가정의학과 상담의 홍인표입니다.
너무 걱정이 많으신 것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질문자 분이 불편한 증상의 원인을 찾기위해 검사를 선택하는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필요한 검사가 있으면 진료 받으면서 주치의 선생님이 권할 것 같습니다
상급병원 호흡기나 순환기 내과에서 검사 받으시면 됩니다

폐색전증(PE)은 폐동맥 또는 그 가지에 혈전이 형성되어 발생하는 심각한 상태입니다. 혈전은 폐로 가는 혈류를 차단하여 통증, 호흡 곤란 및 사망까지 초래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폐색전증의 일반적인 검사입니다.

D-다이머 검사: 이 혈액 검사는 혈액 응고에 관여하는 단백질인 D-다이머의 수치를 측정합니다. D-다이머 수치가 높으면 폐색전증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그러나 D-다이머 수치가 정상이더라도 폐색전증을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
컴퓨터 단층촬영(CT) 폐혈관조영술: 이 검사는 폐의 혈관을 자세히 확인하는 데 사용됩니다. CT 폐혈관조영술은 폐색전증을 진단하는 가장 정확한 검사입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answer Re : 폐 색전증 질문입니다.
김창래
김창래 전문의 고유가정의학과의원 하이닥 스코어: 302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안녕하세요. 하이닥 내과 상담의 김창래입니다.
폐색전증이 의심된다면 조영제ㄹㄹ 이용한 흉부 CT 검사를 시행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원한다고 검사를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므로 심장내과 진료를 먼저 보아야 합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answer Re : 폐 색전증 질문입니다.
이이호
이이호 전문의 창원파티마병원 하이닥 스코어: 1817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안녕하세요. 하이닥 외과 상담의 이이호입니다.

폐 색전증은 폐혈관에 혈전이 생겨서 폐의 혈류가 막히는 질환입니다. 폐색전증의 증상으로는 흉통, 호흡곤란, 기침, 어지러움, 피로감 등이 있습니다. 폐색전증은 심장내과에서 진단하고 치료합니다. 폐색전증의 진단을 위해서는 혈액검사, 흉부 X-Ray, 폐 CT, 폐동맥조영술 등을 시행합니다. 폐색전증의 치료는 항응고제와 혈전용해제를 사용합니다. 폐색전증은 심각한 질환이기 때문에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에 가서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answer Re : 폐 색전증 질문입니다.
송슬기
송슬기 전문의 신세계항의원 하이닥 스코어: 3110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안녕하세요. 하이닥 외과 상담의 송슬기입니다.
폐색전증은 심부정맥의 혈전이 이동하여 폐 혈관을 막은 상태를 말합니다. 폐색전증의 가장 흔한 원인은 외상, 수술, 움직임 제한, 임신, 산후기간과 같은 과응고 상태 입니다. 갑자기 시작된 호흡곤란이 가장 흔한 증상이며 빠른 호흡이 가장 흔한 징후입니다. 호흡곤란, 실신, 혹은 청색증은 대량의 폐색전증을 나타내며, 흉막성 통증, 기침, 객혈은 흔히 흉막에 가까운 원위부에 위치한 작은 폐 색전증을 암시합니다. 폐 색전증은 입원 환자에서 발생 위험이 높으나 적절한 예방을 하면 많이 줄일 수 있어 적절한 예방을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