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닥

상담 목록

Question 팔(삼두근에서 이두근쪽?)과 갈비뼈 쪽의 타박상, 멍
20대 초반 남성입니다.
욕실에서 뒤로 넘어져서 욕조에 겨드랑이가 부딪혀서
몸의 뒷쪽 부분에 팔 삼두에서 이두 사이의 부근과
광배근이 있는 쪽의 갈비뼈쪽이 통증이 느껴지는데요,
2일이 지난 지금 눌렀을 때의 통증이 거의 그대로고
움직임에는 아프지 않고 가동범위도 제한이 없이 움직일 수 있는데 팔이나 갈비뼈 쯤 실금을 의심할 수도 있을까요?
갈비뼈는 숨을 크게 들이쉬거나 내쉬거나 해도 아프지 않고 기침과 재체기에도 아프지 않아서 골절은 아니겠거니 생각했었습니다.
팔이나 갈비뼈가 실금이 의심된다면 정형외과 내원 없이 집에서 자연치유를 바라도 될까요?


answer Re : 팔(삼두근에서 이두근쪽?)과 갈비뼈 쪽의 타박상, 멍
박종원
박종원 전문의 아나파신경과의원 하이닥 스코어: 867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안녕하세요. 하이닥 신경과 상담의 박종원입니다.
모두 가능합니다.
그래도 병원을 가시면 의사는 엑스레이를 권유하고
증상의 빠른 회복을 위해
늑간신경의 치료까지 권하게 됩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answer Re : 팔(삼두근에서 이두근쪽?)과 갈비뼈 쪽의 타박상, 멍
홍인표
홍인표 전문의 닥터홍가정의학과의원 하이닥 스코어: 4472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1
안녕하세요. 하이닥 가정의학과 상담의 홍인표입니다.
영상 검사없이 실금인지 골절인지 골절이 아닌지를 의심하기는 힘들어요. 불편한 점이 없으면 집에서 경과 지켜보셔요. 골절이어도 합병증없으면 치유 될때까지 시간이 좀 필요합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answer Re : 팔(삼두근에서 이두근쪽?)과 갈비뼈 쪽의 타박상, 멍
박수철
박수철 전문의 활기찬정형외과의원 하이닥 스코어: 30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안녕하세요. 하이닥 정형외과 상담의 박수철입니다.
귀하의 상황을 자세히 들어보니, 실금(골절)보다는 타박상(근육/인대 손상)일 가능성이 더 높아 보입니다. 그러나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전문의의 검진이 필요합니다.

아래와 같은 점들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움직임에 제한이 없고 통증도 크지 않다는 점은 골절보다는 타박상의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갈비뼈 부위의 통증이 지속되고 있다는 점은 주의깊게 관찰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실금이 아니더라도 내부 장기 손상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정형외과 진료 없이 자연치유를 기대하기에는 위험이 있습니다. 특히 실금이나 내부 장기 손상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는 전문의 진찰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따라서 저의 조언은 가까운 정형외과나 응급실을 방문하여 전문의 진찰을 받는 것이 가장 안전할 것 같습니다. 단순 타박상일 경우에도 적절한 치료와 관리가 필요하므로 전문의 진찰이 권장됩니다. 건강한 회복을 기원합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answer Re : 팔(삼두근에서 이두근쪽?)과 갈비뼈 쪽의 타박상, 멍
배병제
배병제 전문의 HiDoc 하이닥 스코어: 89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안녕하세요. 하이닥 외과 상담의 배병제입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넘어지는 과정에 혹시라도 모를 작은 골절이 발생했다면 병원을 반드시 방문해서 확인해야 합니다. 방치할 경우 불유합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answer Re : 팔(삼두근에서 이두근쪽?)과 갈비뼈 쪽의 타박상, 멍
김경남
김경남 전문의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하이닥 스코어: 521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안녕하세요

#요약
1. 호흡곤란 증상이 있으면 꼭 병원으로 가보세요
2. 그래도 어디에 문제가 있는지 확인을 해놔야 편하지 않을까요 조심도 더하게 되고

늑골 골절은 보통은 엑스레이상 골절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만,

엑스레이에서 보이지 않는 약한 골절이나,
연골의 손상은 엑스레이에서 보이지 않습니다.

이런 경우 골주사 검사등으로 확인은 가능하나,
약한 골절이나 연골손상의 경우 특별한 치료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가 많아,
굳이 정밀검사까지 하는 경우는 드뭅니다.

건승하세요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