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닥

상담 목록

Question 폐경 후 생리
2023년 5월, 병원에서 폐경 진단을 받았습니다.
1년이 지난 지금까지 한달 혹은 두달에 한번씩 생리를 하고있습니다.
폐경 후에도 당분간은 생리를 한다는 이야기는 들었으나
이렇게 오래 생리를 하고있어도 되는 걸까요.

게다가 폐경 진단 후 난소에 혹이 발견되었으며
추적검사를 통해 난소 혹의 크기는 작아졌으나 사라지지는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다른쪽 난소에도 혹이 발견되었습니다.

폐경 후 1년이 경과한 지금도 이어지는 지속적인 생리와 사라지지 않는 난소 혹,
이대로 괜찮은걸까요?


answer Re : 폐경 후 생리
홍인표
홍인표 전문의 닥터홍가정의학과의원 하이닥 스코어: 4472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안녕하세요. 하이닥 가정의학과 상담의 홍인표입니다.
임상적으로 폐경이면 생리가 일년정도 없어야 폐경이라고 할 수있는데 지금 한두달에 한번 생리 하고 있으니 아직 폐경은 아닙니다. 진료는 한번 받아보셔요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answer Re : 폐경 후 생리
김경남
김경남 전문의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하이닥 스코어: 521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질문자의 감사 인사 |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고맙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고맙습니다.

안녕하세요

#요약
1. 부정출혈입니다.
2. 원인질환이 있는지 확인을 해봐야 합니다.

부정출혈(또는 불규칙출혈)은 여성 생식기계에서 일어나는
생리주기 이외에 발생하는 자궁 출혈이 있는 상황입니다.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대게는 아래와 같은 이유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호르몬 이상
-생리주기 문제
-자궁내 종양
-스트레스 또는 신경성 출혈
-난소 기능 이상
-출혈 장애
-특정 약물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으며,

호르몬 불균형은 부정출혈의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이며,
여성 생리주기는 여러 가지 호르몬의 조절에 의해 제어되는데,
호르몬 불균형으로 출혈 패턴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스트레스, 감정적인 스트레스, 신경성 요인으로 인해 부정출혈이 발생할 수 있고,
자궁 내 종양 (근종, 폴립, 낭종 등등)이 부정출혈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건승하세요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answer Re : 폐경 후 생리
김봉석
김봉석 전문의 강남르시엘여성의원 하이닥 스코어: 4
전문가동의 0 | 답변추천 0
질문자의 감사 인사 |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고맙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고맙습니다.

안녕하세요. 하이닥 산부인과 상담의 김봉석입니다.
환자분은 폐경 직전단계인 폐경 이행기로 보입니다. 12개월 이상 생리를 안하면 폐경으로 진단하는데 그 전에 생리를 2-3개월에 한번씩 뛰엄뛰엄 하는 시기입니다. 폐경 이행기는 사람에 따라 2-3년 이상 지속되기도 하고 호르몬 검사에서는 정상에서 폐경까지 다양하게 나올수 있습니다. 난소에 혹이 생겼다 없어졌다 할 수 있으며 계속 커지지 않는다면 지켜보시면 됩니다. 다만 완경시까지 6개월에 한번정도 초음파 검사로 추적 관찰하시기 바랍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